본문 바로가기
2010.04.24 15:05

미셸, 섀도

조회 수 924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셸, 섀도

한글 맞춤법은 한글을 이용하여 우리말을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게 적는 방법을 정한 것이다. 외래어 표기 역시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이런 기본적인 원리가 적용되기 마련인데 여기에서 벗어나는 것이 종종 보인다.

서양 사람 이름 ‘Michelle’은 그 소리에 맞추어 ‘미셸’로 적어야 하나, ‘미쉘’로 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미쉘’의 ‘쉐’는 소리 [셰]와 거리가 멀다. ‘쉐’는 [궤]의 첫소리만 ‘ㅅ’으로 바꾼 것을 적은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쉐’가 [셰]를 적은 것이라면 ‘궤’는 [계]를 적은 것이 된다. 우리말 ‘쇠’의 가장 흔한 발음이 [쉐]인 것을 떠올리면 더 빨리 ‘쉐’의 발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표기의 혼동은 외국어의 [∫]를 흔히 ‘쉬’로 적는 데서 비롯된 듯하다. 즉 ‘캐시’를 ‘캐쉬’로 잘못 적다 보니 ‘섀’나 ‘셰’로 적어야 할 것을 ‘쉐’로 적게 되었을 것이라는 말이다.

이렇게 소리와 맞지 않게 ‘쉐’를 쓰는 다른 말이 더러 있다. 영화 제목에 등장하는 ‘shadow’는 대개 ‘쉐도우’라고 적혔으나 ‘섀도’가 맞다. 개의 품종 ‘shepherd’는 ‘셰퍼드’로 적어야 하며, 상표로 쓰이고 있는 ‘쉐라톤’과 ‘포르쉐’도 발음대로 적자면 각각 영어 표기법과 독일어 표기법을 적용하여 ‘셰러턴’(Sheraton)과 ‘포르셰’(Porsche)로 적는 것이 옳다. 1960년대의 프랑스 영화 <쉘부르의 우산>(The Umbrellas of Cherbourg)의 바른 표기는 ‘셰르부르의 우산’이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20
1984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22
1983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238
1982 넉넉지/넉넉치 바람의종 2009.03.17 14573
1981 떠벌리다/떠벌이다 바람의종 2009.03.17 10682
1980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7922
1979 바람의종 2009.03.18 5200
1978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70
1977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327
1976 아니예요 바람의종 2009.03.18 6742
1975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55
1974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14
1973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72
1972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53
1971 ~까지, ~조차, ~마저 바람의종 2009.03.23 11560
1970 웃긴, 웃기는 바람의종 2009.03.23 8227
1969 주접떨다, 주접든다 바람의종 2009.03.23 18783
1968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23
1967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05
1966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바람의종 2009.03.24 22254
1965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679
1964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387
1963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5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