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23 12:19

억수로 가찹데이!

조회 수 11840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억수로 가찹데이!

‘억수로 가찹데이’는 ‘굉장히 가깝다’는 뜻이다. ‘가찹다’는 표준어 ‘가깝다’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경기도를 제외한 한반도 대부분의 지역과 중국과 중앙아시아의 우리 동포들 사이에서 두루 쓰인다. 그래서인지 북녘에서 간행된 <조선말대사전>에는 ‘가찹다’가 버젓이 문화어의 자격으로 올라 있다. “이 지지리도 못난 것아, 앓고 누웠다꼬 무신 소양이로, 눈 딱 깜고 가차분 갱변이라도 쫌 댕겨라.”(<깊은 강> 김주영>) “그러먼 피도 살도 안 섺인 성님이 가찹소오. 살 섞은 내가 가찹소?”(<혼불> 최명희) “그 땅이 습하이가 토질이 걸구 동네서 가차분 것두 여직 버려졌던 땅이 아니였소?”(<눈물젖은 두만강> 최홍일, 재중동포 작가)

‘가찹다’가 경기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모든 지역에서 두루 쓰이는 고장말이라고 할지라도 그 쓰임이 모든 면에서 같은 것은 아니다. 가령 경상도나 함경도 사람들(재중동포 포함) 사이에서는 ‘가찹다’에 어미가 결합할 경우 ‘가차분, 가차버서’라고 하는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가차운, 가차워서’라고 한다. 잘 알려진 대로 ‘춥다’에 ‘-어서’가 결합될 때 대부분 지역에서는 ‘추워서’라고 말하지만, 경상도나 함경도 지역에서는 ‘추버서’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이 땡땡 추분 겨울에 가먼 또 어디로 갈 기라꼬.”(<태백산맥> 조정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0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964
2864 빼았기다 / 빼앗기다 바람의종 2011.11.15 12013
2863 홍길동이라고 합니다 바람의종 2010.08.14 12011
2862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2008
2861 맞장구 치다 바람의종 2008.01.07 12003
2860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1992
2859 입장 바람의종 2010.03.18 11991
2858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90
2857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1988
2856 황소바람 바람의종 2010.09.04 11986
2855 제우 요것뿐이오! 바람의종 2010.01.20 11980
2854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77
2853 난이도, 난도 바람의종 2009.06.29 11977
2852 숟가락 바람의종 2010.05.28 11968
2851 뇌졸중 / 뇌졸증 바람의종 2012.08.13 11940
2850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925
2849 회피 / 기피 바람의종 2012.07.05 11922
2848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921
2847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908
2846 좋은 아침! 바람의종 2008.03.27 11898
2845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897
2844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894
2843 노일전쟁 바람의종 2010.06.19 118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