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23 12:19

억수로 가찹데이!

조회 수 11832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억수로 가찹데이!

‘억수로 가찹데이’는 ‘굉장히 가깝다’는 뜻이다. ‘가찹다’는 표준어 ‘가깝다’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경기도를 제외한 한반도 대부분의 지역과 중국과 중앙아시아의 우리 동포들 사이에서 두루 쓰인다. 그래서인지 북녘에서 간행된 <조선말대사전>에는 ‘가찹다’가 버젓이 문화어의 자격으로 올라 있다. “이 지지리도 못난 것아, 앓고 누웠다꼬 무신 소양이로, 눈 딱 깜고 가차분 갱변이라도 쫌 댕겨라.”(<깊은 강> 김주영>) “그러먼 피도 살도 안 섺인 성님이 가찹소오. 살 섞은 내가 가찹소?”(<혼불> 최명희) “그 땅이 습하이가 토질이 걸구 동네서 가차분 것두 여직 버려졌던 땅이 아니였소?”(<눈물젖은 두만강> 최홍일, 재중동포 작가)

‘가찹다’가 경기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모든 지역에서 두루 쓰이는 고장말이라고 할지라도 그 쓰임이 모든 면에서 같은 것은 아니다. 가령 경상도나 함경도 사람들(재중동포 포함) 사이에서는 ‘가찹다’에 어미가 결합할 경우 ‘가차분, 가차버서’라고 하는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가차운, 가차워서’라고 한다. 잘 알려진 대로 ‘춥다’에 ‘-어서’가 결합될 때 대부분 지역에서는 ‘추워서’라고 말하지만, 경상도나 함경도 지역에서는 ‘추버서’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이 땡땡 추분 겨울에 가먼 또 어디로 갈 기라꼬.”(<태백산맥> 조정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6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52
1126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578
1125 어학 바람의종 2010.08.25 7607
1124 억수 바람의종 2007.12.31 6785
1123 억수 風磬 2007.01.19 8767
» 억수로 가찹데이! 바람의종 2010.04.23 11832
1121 억수로 기찹데이! file 바람의종 2010.05.06 10277
1120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33
1119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38
1118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9.08.02 10538
1117 억지 춘향 바람의종 2008.01.26 10081
1116 억지조어 바람의종 2011.11.11 7794
1115 언니와 학부형 바람의종 2011.10.25 8955
1114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967
1113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302
1112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204
1111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397
1110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風文 2022.10.09 1026
1109 언어도단 바람의종 2007.12.16 10331
1108 언어로 성형수술을 / 위계질서와 개인정보 風文 2020.07.09 2186
1107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234
1106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2896
1105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2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