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19 14:42

몰래 입국, 몰래 출국

조회 수 12288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몰래’는 동사 ‘모르다’에서 파생된 부사다. ‘모르다’의 어간 ‘모르’에 접미사 ‘-애’가 이어졌다. 다시 [ㄹ] 소리가 덧나는 설측음화 현상이 표기에 반영되어 ‘몰래’로 되었다. ‘몰래’가 부사 외에 다른 품사처럼 쓰이는 예는 없었다.

“국경 산악지대를 통한 사람과 물자의 몰래 입국, 몰래 출국의 길이 크게 열려 있다.” 이란의 지정학적 상황을 다룬 신문기사의 한 구절이다. 기사에서는 ‘몰래 입국’, ‘몰래 출국’이라고 해서 ‘몰래’가 관형사처럼 쓰이고 있다. 언뜻 ‘입국’ 또는 ‘출국’을 ‘입국하다’ 또는 ‘출국하다’라는 동사의 어근으로 볼 수도 있겠으나 ‘몰래 출국의’라고 해서 조사 ‘의’까지 붙여 놓았으니 꼼짝없이 명사일 수밖에 없다.

‘몰래’가 관형사처럼 쓰인 것은 ‘몰래카메라’가 처음인 것으로 짐작된다. 당시 이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대단한 인기를 끌면서 ‘몰래카메라’라는 말이 어법을 뛰어넘어 대중 속으로 파고들었고, 대중의 힘을 바탕으로 이제는 사전에까지 버젓이 올라 있다. 우리말 부사 ‘몰래’와 동작성도 없는 외래어 명사 ‘카메라’가 불륜을 저질렀으나, 아무런 비판이나 저항 없이 혼인신고까지 마친 셈이다. 차라리 ‘스파이 카메라’라고 했으면 말의 갈래를 정리하는 데는 문제가 없었을 것이다. 요즘은 단속을 위한 ‘감시카메라’라는 말이 많이 쓰이고 있다. ‘몰래 입국’, ‘몰래 출국’이라는 말을 신문에서 스스럼없이 쓰는 걸 보면 ‘몰래’를 관형사처럼 쓰는 예는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3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8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796
1390 무더위 바람의종 2009.02.17 6609
1389 무더위 바람의종 2009.08.29 6014
1388 무더위 바람의종 2010.07.09 7570
1387 무단시 왜 그리 쌓소! 바람의종 2010.01.28 7672
1386 무녀리 바람의종 2010.04.18 11129
1385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200
1384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901
1383 무꾸리 風磬 2006.11.26 8171
1382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6037
1381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631
1380 묫자리 / 묏자리 바람의종 2012.08.20 12403
1379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421
1378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52
1377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783
1376 못하다 바람의종 2010.03.18 10803
1375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바람의종 2009.03.25 16664
1374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713
1373 못미처, 못미쳐, 못 미처, 못 미쳐 바람의종 2010.10.18 22169
1372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521
1371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917
1370 몸 달은 바람의종 2012.08.21 7093
1369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