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25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앗다’와 ‘호함지다’

이제 겨울이 지나가고 있다. 이번 겨울에는 눈도 많이 오고 강추위가 계속되어 다른 해보다 좀 색다른 느낌을 가진 사람이 많을 것 같다. 농한기를 맞은 겨울 농촌에서 그 지방 고유의 음식을 마련하여 이웃과 사랑을 나누는 장면이 방송에 자주 나온 것도 아마 유난히 춥고 긴 겨울 탓이 아니었나 싶다. 이때 나온 음식 가운데 하나가 두부와 묵이었다. 우리는 잘 쓰지 않지만 북녘에는 ‘앗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두부나 묵 같은 것을 만들다”의 뜻이다. 문맥에서 예를 들면 “뜻밖에도 김정숙 동지께서는 서도실이와 함께 콩물을 끓이고 계시였다. 어제밤 두부를 앗겠다고 콩을 불쿠시더니 어느새 망에 콩물을 낸 것이다.”(<그리운 조국 산천>, 박유학, 문예출판사, 1985년, 361쪽)와 같이 쓰인다. 남녘말은 ‘불리다’이고 북녘말은 ‘불구다’인데 ‘불쿠다’는 ‘불구다’의 센말이다.

‘호함지다’는 말은 “마음에 흐뭇할 만큼 탐스럽다”의 뜻이다. “앞날의 모든 일을 지금 당장 다는 예상할 수 없지만 큰 포부와 희망을 품고 북만땅을 떠나 여기 백두산 지구까지 일부러 찾아나오신 장군님께서는 백두산 밀영에서 맞게 되신 첫 아침에 푸지고 호함지게 내린 첫눈을 보시던 순간부터 한량없이 마음이 밝고 명랑해지시였다.”(<압록강>,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3년, 41쪽)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6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1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105
2446 새나 짐승의 어린 것을 이르는 말 바람의종 2010.04.02 11358
2445 골덴 바람의종 2010.04.06 11798
2444 벌이다와 벌리다 바람의종 2010.04.06 13504
2443 옴니암니 바람의종 2010.04.06 12520
2442 너무 바람의종 2010.04.10 9645
2441 참 그놈 간풀구만! 바람의종 2010.04.10 12552
2440 노가리 바람의종 2010.04.10 13710
2439 접두사 ‘새-’와 ‘샛-’ 바람의종 2010.04.10 12438
2438 일상어 몇 마디와 ‘-적’ 바람의종 2010.04.13 12478
2437 울면 file 바람의종 2010.04.13 11022
2436 외곬과 외골수 바람의종 2010.04.13 12955
2435 터무니없다 바람의종 2010.04.13 10580
2434 네거티브 전략 바람의종 2010.04.17 11037
2433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402
2432 곤죽 바람의종 2010.04.17 15556
» ‘앗다’와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0.04.18 14255
2430 저지 바람의종 2010.04.18 12251
2429 ‘-율’과 ‘-률’ 바람의종 2010.04.18 13226
2428 무녀리 바람의종 2010.04.18 11117
2427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84
2426 바치다,받치다,받히다 바람의종 2010.04.19 13247
2425 늘리다와 늘이다 바람의종 2010.04.19 101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