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10 07:20

너무

조회 수 964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무

'
너무’는 동사 ‘넘다’에서 파생한 부사다. 넘다의 어간 ‘넘’에 접미사 ‘-으’가 이어져 ‘너므’로 되었고 다시 ‘너무’로 변했다. ‘너므’가 ‘너무’로 된 것은 유추(아날로지) 현상으로 볼 수도 있고, 음운론적으로는 입술소리되기(순음화) 현상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너무’는 ‘일정한 정도나 한계에 지나치게’라는 뜻이다. 그래서 좋지 않다는 의미와 어울린다. 밥을 많이 달라고 했더니, 아예 큰 양푼에다 가득 담아 왔다면 ‘너무 많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요즘에는 ‘너무’가 ‘매우, 무척, 아주’ 등의 뜻으로도 쓰이고 있다. ‘너무 좋다’, ‘너무 맛있다’, ‘너무 재미있다’ 등의 말은 하루 종일 입에 달고 사는 말이 되었다. ‘너무 맛있다’고 했다면 사전적 해석으로 ‘일정한 정도나 한계에 지나치게 맛있다’는 뜻이 아님은 자명하다. 매우 맛있다는 뜻이다. 이쯤 되면 사전이 ‘너무’의 새로운 뜻을 외면할 수 없는 상황에 왔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아직도 외면하고 있지만, 일부 사전은 ‘속어’로서 매우, 무척이라는 뜻으로 설명해 놓았다. 그러나 ‘너무’가 본래의 뜻을 완전히 벗어던지고 새로운 뜻으로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일부 어의전성이 일어났지만, 본래의 뜻으로도 여전히 쓰이고 있다. 그렇다면 본래의 뜻과 새로운 뜻을 모두 인정해야 할 때가 되었다. 다만 말을 쓰는 쪽이나 듣는 쪽 모두 뜻을 골라 쓰고 골라 들어야 할 것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7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26
2138 걸리적거리다 바람의종 2010.08.15 9684
2137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682
2136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682
2135 녹초가 되다 바람의종 2007.12.30 9682
2134 천만에 말씀 바람의종 2010.01.20 9680
2133 뀌띰, 괜시레 바람의종 2008.12.17 9679
2132 엉덩이와 궁둥이 바람의종 2010.08.19 9677
2131 맞장(맞짱) 바람의종 2009.09.27 9677
2130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677
2129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675
2128 하느님, 하나님 바람의종 2010.03.22 9675
2127 '돋구다'와 '돋우다' 바람의종 2008.06.12 9668
2126 조사 ‘밖에’ 뒤엔 부정하는 말 바람의종 2009.11.24 9664
2125 대처승 바람의종 2007.06.25 9664
2124 복구, 복귀 바람의종 2009.09.23 9664
2123 독불장군 바람의종 2010.07.10 9656
2122 들쳐업다 바람의종 2009.07.28 9656
2121 ‘첫날밤이요’ 바람의종 2010.02.21 9642
2120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642
2119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641
» 너무 바람의종 2010.04.10 9640
2117 나룻 바람의종 2010.07.20 96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