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98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뜨더국’과 ‘마치다’

‘수제비’를 북녘에서는 ‘뜨더국’이라고 한다. 밀가루를 반죽하여 끓는 물에 조금씩 뜯어 넣어 익힌 음식이 수제비인데, 지난날 여름철에 농촌에서 머슴들이 풀베기할 때 간식으로 먹거나 하루 종일 벤 퇴비용 풀을 밤에 일꾼들과 함께 작두에 썰고 나서 쉴 때 옷소매로 땀을 훔쳐 가며 먹던 음식이다. 지금은 계절에 관계없이 별미로 찾는 음식이 되었다. 북녘에서 ‘뜨더국’이 쓰인 예로는 “낟알을 구해 오는 문제가 화제에 오른 다음날 아침 윤칠녀는 전에 없는 밀가루로 뜨더국을 끓이였고 잣나무 잎을 우려서 차물 대신 내놓았다.”(<백두산 기슭>,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78년, 141쪽) 등이 있다. 이때 ‘낟알’은 ‘곡식’의 총칭이다.

‘마치다’라는 말이 있다. 우리는 “일을 마치고 귀가하다”에서 보는 것처럼 ‘끝마치다’의 의미로 쓴다. 그러나 북녘에서는 이와 달리 “더러운 것을 묻히여 못쓰게 만들다”의 의미로 쓴다. 문맥에서는 “그러나 그이께서 흙 묻은 손을 비벼 터시며 내려오시자 박창우와 최승보는 나이 생각도 며느리, 딸들 앞이라는 생각도 다 잊어버리고 앞을 다투어 지붕 우로 올라갔다. ‘조심하십시오. 옷 마치겠습니다.’ 김성주 동지께서는 껄껄 웃으시며 어린애같이 덤비는 두 노인에게 말씀하시였다.”(<대지는 푸르다>,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618쪽)와 같이 쓰인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76
2468 하룻강아지 바람의종 2010.03.22 12164
2467 하냥 file 바람의종 2010.03.23 12451
2466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5928
2465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473
2464 거치다와 걸치다 바람의종 2010.03.23 15124
2463 구리무와 포마드 바람의종 2010.03.24 11840
2462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288
2461 쟁이와 장이 바람의종 2010.03.24 16286
2460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401
2459 호분차 온나! file 바람의종 2010.03.26 12592
2458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바람의종 2010.03.26 13110
2457 결제와 결재 바람의종 2010.03.26 14639
2456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7948
2455 엑박 바람의종 2010.03.30 10889
2454 고주망태 바람의종 2010.03.30 13111
2453 ‘100만여원’과 ‘100여만원’ 바람의종 2010.03.30 12437
2452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30
2451 주마등 바람의종 2010.04.01 12373
2450 아니요와 아니오 바람의종 2010.04.01 11355
2449 몬뜰래기 벗곡! 바람의종 2010.04.02 11739
»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5980
2447 써라와 쓰라 바람의종 2010.04.02 125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