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09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뜨더국’과 ‘마치다’

‘수제비’를 북녘에서는 ‘뜨더국’이라고 한다. 밀가루를 반죽하여 끓는 물에 조금씩 뜯어 넣어 익힌 음식이 수제비인데, 지난날 여름철에 농촌에서 머슴들이 풀베기할 때 간식으로 먹거나 하루 종일 벤 퇴비용 풀을 밤에 일꾼들과 함께 작두에 썰고 나서 쉴 때 옷소매로 땀을 훔쳐 가며 먹던 음식이다. 지금은 계절에 관계없이 별미로 찾는 음식이 되었다. 북녘에서 ‘뜨더국’이 쓰인 예로는 “낟알을 구해 오는 문제가 화제에 오른 다음날 아침 윤칠녀는 전에 없는 밀가루로 뜨더국을 끓이였고 잣나무 잎을 우려서 차물 대신 내놓았다.”(<백두산 기슭>,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78년, 141쪽) 등이 있다. 이때 ‘낟알’은 ‘곡식’의 총칭이다.

‘마치다’라는 말이 있다. 우리는 “일을 마치고 귀가하다”에서 보는 것처럼 ‘끝마치다’의 의미로 쓴다. 그러나 북녘에서는 이와 달리 “더러운 것을 묻히여 못쓰게 만들다”의 의미로 쓴다. 문맥에서는 “그러나 그이께서 흙 묻은 손을 비벼 터시며 내려오시자 박창우와 최승보는 나이 생각도 며느리, 딸들 앞이라는 생각도 다 잊어버리고 앞을 다투어 지붕 우로 올라갔다. ‘조심하십시오. 옷 마치겠습니다.’ 김성주 동지께서는 껄껄 웃으시며 어린애같이 덤비는 두 노인에게 말씀하시였다.”(<대지는 푸르다>,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618쪽)와 같이 쓰인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5125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665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0Apr
    by 바람의종
    2010/04/10 by 바람의종
    Views 10001 

    생때, 생떼

  5. No Image 10Apr
    by 바람의종
    2010/04/10 by 바람의종
    Views 12434 

    접두사 ‘새-’와 ‘샛-’

  6. No Image 10Apr
    by 바람의종
    2010/04/10 by 바람의종
    Views 13701 

    노가리

  7. No Image 10Apr
    by 바람의종
    2010/04/10 by 바람의종
    Views 12545 

    참 그놈 간풀구만!

  8. No Image 10Apr
    by 바람의종
    2010/04/10 by 바람의종
    Views 9643 

    너무

  9. No Image 07Apr
    by 바람의종
    2010/04/07 by 바람의종
    Views 10081 

    영어 남발

  10. No Image 07Apr
    by 바람의종
    2010/04/07 by 바람의종
    Views 9987 

    살찌다, 살지다

  11. No Image 06Apr
    by 바람의종
    2010/04/06 by 바람의종
    Views 12517 

    옴니암니

  12. No Image 06Apr
    by 바람의종
    2010/04/06 by 바람의종
    Views 13504 

    벌이다와 벌리다

  13. No Image 06Apr
    by 바람의종
    2010/04/06 by 바람의종
    Views 11795 

    골덴

  14. No Image 02Apr
    by 바람의종
    2010/04/02 by 바람의종
    Views 23676 

    늘그막, 늙으막 / 늑수그레하다, 늙수그레하다

  15. No Image 02Apr
    by 바람의종
    2010/04/02 by 바람의종
    Views 10805 

    유혈목이, 새홀리기

  16. No Image 02Apr
    by 바람의종
    2010/04/02 by 바람의종
    Views 11354 

    새나 짐승의 어린 것을 이르는 말

  17. No Image 02Apr
    by 바람의종
    2010/04/02 by 바람의종
    Views 12522 

    써라와 쓰라

  18. No Image 02Apr
    by 바람의종
    2010/04/02 by 바람의종
    Views 16099 

    ‘뜨더국’과 ‘마치다’

  19. No Image 02Apr
    by 바람의종
    2010/04/02 by 바람의종
    Views 11753 

    몬뜰래기 벗곡!

  20. No Image 01Apr
    by 바람의종
    2010/04/01 by 바람의종
    Views 5953 

    놀잇감, 장난감

  21. No Image 01Apr
    by 바람의종
    2010/04/01 by 바람의종
    Views 9929 

    뽀드락지

  22. No Image 01Apr
    by 바람의종
    2010/04/01 by 바람의종
    Views 11362 

    아니요와 아니오

  23. No Image 01Apr
    by 바람의종
    2010/04/01 by 바람의종
    Views 12387 

    주마등

  24. No Image 01Apr
    by 바람의종
    2010/04/01 by 바람의종
    Views 13369 

    가시 돋힌 설전

  25. No Image 30Mar
    by 바람의종
    2010/03/30 by 바람의종
    Views 12201 

    녹녹지 않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