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01 22:09

가시 돋힌 설전

조회 수 13373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시 돋힌 설전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형태소’라고 한다. 이때의 뜻은 개념적인 뜻뿐만 아니라 기능적 또는 관계적인 뜻까지 포함한다.

“가시 돋힌 설전, 상처 치유될까?” 뉴스 전문 채널의 자막에 뜬 문장이다. ‘돋힌’을 보자. ‘돋히다’의 관형형이다. ‘돋히다’를 형태소 단위로 쪼개면 ‘돋(어간)+히(접미사)+다(어미)’로 분석된다. 그런데 사전을 찾아보면 ‘돋치다’는 있는데, ‘돋히다’는 없다. ‘돋치다’의 ‘-치’도 접미사로서 하나의 형태소다. 접미사 ‘-히’와 ‘-치’를 살펴보자. ‘-히’는 사동 또는 피동을 나타낸다. 사동과 피동에 함께 쓰이는 접미사로는 ‘-이, -히, -리, -기’가 있고, 사동에만 쓰이는 접미사로는 ‘-우, -구, -추’가 있다. ‘가시 돋힌’에서 ‘-히’는 ‘먹히다, 밟히다’처럼 피동의 뜻으로 쓴 듯하다. ‘-치’는 ‘밀치다, 부딪치다’처럼 강세를 나타낸다.

사전이 ‘돋치다’는 싣고 ‘돋히다’는 싣지 않은 것은 ‘돋다’의 강세형만 인정하고 피동형은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돋히다’는 ‘돋치다’의 틀린 표기로 본다. 그런데 ‘돋히다’로 쓴 사람이 피동의 뜻으로 썼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도 버르장머리 없는 누구의 말에 ‘가시가 돋히었다’고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그러나 말은 혼자 우겨서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것이 언어의 사회성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0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6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598
2248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085
2247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37
2246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58
2245 자리 매김 바람의종 2008.10.13 7096
2244 눈꼽, 눈쌀, 등살 바람의종 2008.10.13 10013
2243 즐겁다, 기쁘다 바람의종 2008.10.13 7772
2242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36
2241 메다, 매다 바람의종 2008.10.14 7501
2240 빌어, 빌려 바람의종 2008.10.14 11038
2239 졸이다, 조리다 바람의종 2008.10.14 6838
2238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27
2237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55
2236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42
2235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55
2234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08.10.20 7069
2233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120
2232 굽신거리다 바람의종 2008.10.22 6809
2231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11
2230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39
2229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29
2228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24
2227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