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01 22:09

가시 돋힌 설전

조회 수 13413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시 돋힌 설전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형태소’라고 한다. 이때의 뜻은 개념적인 뜻뿐만 아니라 기능적 또는 관계적인 뜻까지 포함한다.

“가시 돋힌 설전, 상처 치유될까?” 뉴스 전문 채널의 자막에 뜬 문장이다. ‘돋힌’을 보자. ‘돋히다’의 관형형이다. ‘돋히다’를 형태소 단위로 쪼개면 ‘돋(어간)+히(접미사)+다(어미)’로 분석된다. 그런데 사전을 찾아보면 ‘돋치다’는 있는데, ‘돋히다’는 없다. ‘돋치다’의 ‘-치’도 접미사로서 하나의 형태소다. 접미사 ‘-히’와 ‘-치’를 살펴보자. ‘-히’는 사동 또는 피동을 나타낸다. 사동과 피동에 함께 쓰이는 접미사로는 ‘-이, -히, -리, -기’가 있고, 사동에만 쓰이는 접미사로는 ‘-우, -구, -추’가 있다. ‘가시 돋힌’에서 ‘-히’는 ‘먹히다, 밟히다’처럼 피동의 뜻으로 쓴 듯하다. ‘-치’는 ‘밀치다, 부딪치다’처럼 강세를 나타낸다.

사전이 ‘돋치다’는 싣고 ‘돋히다’는 싣지 않은 것은 ‘돋다’의 강세형만 인정하고 피동형은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돋히다’는 ‘돋치다’의 틀린 표기로 본다. 그런데 ‘돋히다’로 쓴 사람이 피동의 뜻으로 썼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도 버르장머리 없는 누구의 말에 ‘가시가 돋히었다’고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그러나 말은 혼자 우겨서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것이 언어의 사회성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8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4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87
994 옴니암니 바람의종 2010.04.06 12534
993 벌이다와 벌리다 바람의종 2010.04.06 13511
992 골덴 바람의종 2010.04.06 11816
991 새나 짐승의 어린 것을 이르는 말 바람의종 2010.04.02 11369
990 써라와 쓰라 바람의종 2010.04.02 12542
989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6257
988 몬뜰래기 벗곡! 바람의종 2010.04.02 11761
987 아니요와 아니오 바람의종 2010.04.01 11371
986 주마등 바람의종 2010.04.01 12393
»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413
984 ‘100만여원’과 ‘100여만원’ 바람의종 2010.03.30 12518
983 고주망태 바람의종 2010.03.30 13142
982 엑박 바람의종 2010.03.30 10906
981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8065
980 결제와 결재 바람의종 2010.03.26 14713
979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바람의종 2010.03.26 13221
978 호분차 온나! file 바람의종 2010.03.26 12691
977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418
976 쟁이와 장이 바람의종 2010.03.24 16327
975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333
974 구리무와 포마드 바람의종 2010.03.24 11852
973 거치다와 걸치다 바람의종 2010.03.23 152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