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01 22:09

가시 돋힌 설전

조회 수 1333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시 돋힌 설전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형태소’라고 한다. 이때의 뜻은 개념적인 뜻뿐만 아니라 기능적 또는 관계적인 뜻까지 포함한다.

“가시 돋힌 설전, 상처 치유될까?” 뉴스 전문 채널의 자막에 뜬 문장이다. ‘돋힌’을 보자. ‘돋히다’의 관형형이다. ‘돋히다’를 형태소 단위로 쪼개면 ‘돋(어간)+히(접미사)+다(어미)’로 분석된다. 그런데 사전을 찾아보면 ‘돋치다’는 있는데, ‘돋히다’는 없다. ‘돋치다’의 ‘-치’도 접미사로서 하나의 형태소다. 접미사 ‘-히’와 ‘-치’를 살펴보자. ‘-히’는 사동 또는 피동을 나타낸다. 사동과 피동에 함께 쓰이는 접미사로는 ‘-이, -히, -리, -기’가 있고, 사동에만 쓰이는 접미사로는 ‘-우, -구, -추’가 있다. ‘가시 돋힌’에서 ‘-히’는 ‘먹히다, 밟히다’처럼 피동의 뜻으로 쓴 듯하다. ‘-치’는 ‘밀치다, 부딪치다’처럼 강세를 나타낸다.

사전이 ‘돋치다’는 싣고 ‘돋히다’는 싣지 않은 것은 ‘돋다’의 강세형만 인정하고 피동형은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돋히다’는 ‘돋치다’의 틀린 표기로 본다. 그런데 ‘돋히다’로 쓴 사람이 피동의 뜻으로 썼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도 버르장머리 없는 누구의 말에 ‘가시가 돋히었다’고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그러나 말은 혼자 우겨서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것이 언어의 사회성이다.

우재욱/시인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1844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3345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2Feb
    by 바람의종
    2008/02/22 by 바람의종
    Views 13421 

    노가리 까다

  5. No Image 01May
    by 바람의종
    2011/05/01 by 바람의종
    Views 13406 

    센티

  6. No Image 05Sep
    by 바람의종
    2010/09/05 by 바람의종
    Views 13388 

    초를 치다

  7. No Image 27Jan
    by 바람의종
    2010/01/27 by 바람의종
    Views 13384 

    어미 ‘-ㄹ지’,의존명사 ‘지’

  8. No Image 09Nov
    by 바람의종
    2007/11/09 by 바람의종
    Views 13379 

    훈훈하다

  9. No Image 28Jan
    by 바람의종
    2010/01/28 by 바람의종
    Views 13379 

    자립명사와 의존명사

  10. No Image 20Jan
    by 바람의종
    2010/01/20 by 바람의종
    Views 13379 

    간지는 음력

  11. No Image 08Mar
    by 바람의종
    2010/03/08 by 바람의종
    Views 13373 

    하릴없다와 할 일 없다

  12. No Image 09Oct
    by 바람의종
    2012/10/09 by 바람의종
    Views 13372 

    응큼하다

  13. No Image 28Dec
    by 바람의종
    2011/12/28 by 바람의종
    Views 13371 

    진력나다, 진력내다

  14. "정한수" 떠놓고…

  15. No Image 24Nov
    by 바람의종
    2011/11/24 by 바람의종
    Views 13361 

    퍼센트포인트

  16. No Image 20Jun
    by 바람의종
    2010/06/20 by 바람의종
    Views 13360 

    ‘강시울’과 ‘뒤매’

  17. No Image 30Oct
    by 바람의종
    2012/10/30 by 바람의종
    Views 13357 

    하릴없이, 할 일 없이

  18. No Image 22Dec
    by 바람의종
    2011/12/22 by 바람의종
    Views 13345 

    ‘팜므파말’

  19. No Image 14Nov
    by 바람의종
    2011/11/14 by 바람의종
    Views 13336 

    도시이름

  20. No Image 21Jan
    by 바람의종
    2008/01/21 by 바람의종
    Views 13334 

    아퀴를 짓다

  21. No Image 09Oct
    by 바람의종
    2007/10/09 by 바람의종
    Views 13332 

    휘하

  22. No Image 27Oct
    by 바람의종
    2008/10/27 by 바람의종
    Views 13332 

    깍둑이, 부스럭이

  23. No Image 01Apr
    by 바람의종
    2010/04/01 by 바람의종
    Views 13330 

    가시 돋힌 설전

  24. No Image 07May
    by 바람의종
    2010/05/07 by 바람의종
    Views 13329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25. No Image 06Oct
    by 바람의종
    2007/10/06 by 바람의종
    Views 13319 

    언어 분류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