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01 22:09

가시 돋힌 설전

조회 수 13344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시 돋힌 설전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형태소’라고 한다. 이때의 뜻은 개념적인 뜻뿐만 아니라 기능적 또는 관계적인 뜻까지 포함한다.

“가시 돋힌 설전, 상처 치유될까?” 뉴스 전문 채널의 자막에 뜬 문장이다. ‘돋힌’을 보자. ‘돋히다’의 관형형이다. ‘돋히다’를 형태소 단위로 쪼개면 ‘돋(어간)+히(접미사)+다(어미)’로 분석된다. 그런데 사전을 찾아보면 ‘돋치다’는 있는데, ‘돋히다’는 없다. ‘돋치다’의 ‘-치’도 접미사로서 하나의 형태소다. 접미사 ‘-히’와 ‘-치’를 살펴보자. ‘-히’는 사동 또는 피동을 나타낸다. 사동과 피동에 함께 쓰이는 접미사로는 ‘-이, -히, -리, -기’가 있고, 사동에만 쓰이는 접미사로는 ‘-우, -구, -추’가 있다. ‘가시 돋힌’에서 ‘-히’는 ‘먹히다, 밟히다’처럼 피동의 뜻으로 쓴 듯하다. ‘-치’는 ‘밀치다, 부딪치다’처럼 강세를 나타낸다.

사전이 ‘돋치다’는 싣고 ‘돋히다’는 싣지 않은 것은 ‘돋다’의 강세형만 인정하고 피동형은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돋히다’는 ‘돋치다’의 틀린 표기로 본다. 그런데 ‘돋히다’로 쓴 사람이 피동의 뜻으로 썼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도 버르장머리 없는 누구의 말에 ‘가시가 돋히었다’고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그러나 말은 혼자 우겨서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것이 언어의 사회성이다.

우재욱/시인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3364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4935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3Apr
    by 바람의종
    2008/04/23 by 바람의종
    Views 9740 

    가히·논개②

  5. No Image 07Feb
    by 바람의종
    2010/02/07 by 바람의종
    Views 8538 

    가파르다의 활용

  6. No Image 25May
    by 바람의종
    2007/05/25 by 바람의종
    Views 11558 

    가책

  7. No Image 28Apr
    by 바람의종
    2007/04/28 by 바람의종
    Views 10612 

    가차없다

  8. No Image 18Dec
    by 風文
    2023/12/18 by 風文
    Views 1261 

    가짜와 인공

  9. No Image 26Jun
    by 風文
    2022/06/26 by 風文
    Views 1414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10. No Image 24May
    by 바람의종
    2009/05/24 by 바람의종
    Views 6917 

    가젠하민

  11. No Image 09Apr
    by 바람의종
    2009/04/09 by 바람의종
    Views 6607 

    가입시더

  12. No Image 17Aug
    by 바람의종
    2012/08/17 by 바람의종
    Views 9133 

    가이없는 은혜

  13. No Image 28Dec
    by 바람의종
    2007/12/28 by 바람의종
    Views 7242 

    가을하다

  14. No Image 06Sep
    by 바람의종
    2008/09/06 by 바람의종
    Views 7761 

    가외·유월이

  15. No Image 13Jan
    by 바람의종
    2008/01/13 by 바람의종
    Views 6832 

    가와 끝

  16. No Image 24Nov
    by 바람의종
    2009/11/24 by 바람의종
    Views 17155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17. No Image 29Jun
    by 바람의종
    2009/06/29 by 바람의종
    Views 11694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18. No Image 18Mar
    by 바람의종
    2009/03/18 by 바람의종
    Views 11335 

    가열차다, 야멸차다

  19. No Image 01Apr
    by 바람의종
    2008/04/01 by 바람의종
    Views 7129 

    가야와 가라홀

  20. No Image 15Mar
    by 바람의종
    2008/03/15 by 바람의종
    Views 7548 

    가시집

  21. No Image 17Dec
    by 바람의종
    2007/12/17 by 바람의종
    Views 7548 

    가시버시

  22. No Image 26Apr
    by 바람의종
    2010/04/26 by 바람의종
    Views 10048 

    가시버시

  23. No Image 01Apr
    by 바람의종
    2010/04/01 by 바람의종
    Views 13344 

    가시 돋힌 설전

  24. No Image 29Jun
    by 바람의종
    2009/06/29 by 바람의종
    Views 6343 

    가마우지

  25. No Image 11Dec
    by 바람의종
    2008/12/11 by 바람의종
    Views 9097 

    가마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