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7899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긴장’과 ‘비난수’

‘긴장’은 우리의 경우에는 “마음을 늦추지 않고 정신을 차리는 것” 또는 “서로의 관계가 악화되어 분쟁이 일어날 듯한 상태”의 뜻으로서 ‘긴장을 풀다’, ‘긴장의 연속’, ‘긴장이 고조되다’ 등으로 쓰인다. 동사로서는 “너무 긴장하지 말고 차분히 해라”, ‘긴장된 순간’ 등 ‘-하다’, ‘-되다’의 형태로 쓰인다. 그런데 북녘에서는 ‘긴장하다’가 주로 형용사로 쓰이면서 “매우 긴요하고 절실하다”의 뜻을 갖는다. “그래서 나도 몇 번 말씀드렸습니다만 지배인 동무는 나라의 철 사정이 긴장한데 3, 4분기 계획까지 하고보자는 생각인 것 같습니다.”(<뜨거운 심장>, 변희근, 문예출판사, 1984, 5쪽)와 같이 쓰인다.

‘비난수’는 북녘 사전에 “미신에서 무당이 굿이나 푸닥거리를 할 때 귀신에게 빌면서 하는 지껄임”으로 풀이되어 있다. 필자가 고등학교 1학년 때 김소월 시 ‘비난수하는 밤’을 읽으면서 ‘비난수’의 뜻을 몰라 애태운 일이 있었는데 이것이 평안도 방언이었으니 모르는 것이 당연했다. “부성례는 가슴이 철렁했다. 도대체 무슨 판국일까? … 그는 무엇에 홀린 것처럼 두 발이 토방에 붙은 채 비난수에 심취되어 가는 강씨를 지켜보기만 했다.”(<그들의 운명>, 현희균, 문예출판사, 1984, 154쪽)와 같은 용례가 있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314
1236 돋우다와 돋구다 바람의종 2010.03.22 13738
1235 하룻강아지 바람의종 2010.03.22 12116
1234 해프닝 바람의종 2010.03.22 10698
1233 하느님, 하나님 바람의종 2010.03.22 9653
1232 하냥 file 바람의종 2010.03.23 12387
1231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5867
1230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420
1229 거치다와 걸치다 바람의종 2010.03.23 15098
1228 양해의 말씀 / 기라성 바람의종 2010.03.23 13154
1227 양방향 / 쌍방향 바람의종 2010.03.23 10333
1226 구리무와 포마드 바람의종 2010.03.24 11826
1225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277
1224 쟁이와 장이 바람의종 2010.03.24 16255
1223 버스 값, 버스비, 버스 요금 바람의종 2010.03.24 14146
1222 뇌살, 뇌쇄 / 다례, 차례 / 금슬, 금술, 금실 / 귀절, 구절 바람의종 2010.03.24 14506
1221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391
1220 호분차 온나! file 바람의종 2010.03.26 12563
1219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바람의종 2010.03.26 13072
1218 결제와 결재 바람의종 2010.03.26 14619
1217 조그만한, 자그만한 바람의종 2010.03.26 10877
1216 내려쬐다, 내리쬐다 바람의종 2010.03.26 10660
»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78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