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791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긴장’과 ‘비난수’

‘긴장’은 우리의 경우에는 “마음을 늦추지 않고 정신을 차리는 것” 또는 “서로의 관계가 악화되어 분쟁이 일어날 듯한 상태”의 뜻으로서 ‘긴장을 풀다’, ‘긴장의 연속’, ‘긴장이 고조되다’ 등으로 쓰인다. 동사로서는 “너무 긴장하지 말고 차분히 해라”, ‘긴장된 순간’ 등 ‘-하다’, ‘-되다’의 형태로 쓰인다. 그런데 북녘에서는 ‘긴장하다’가 주로 형용사로 쓰이면서 “매우 긴요하고 절실하다”의 뜻을 갖는다. “그래서 나도 몇 번 말씀드렸습니다만 지배인 동무는 나라의 철 사정이 긴장한데 3, 4분기 계획까지 하고보자는 생각인 것 같습니다.”(<뜨거운 심장>, 변희근, 문예출판사, 1984, 5쪽)와 같이 쓰인다.

‘비난수’는 북녘 사전에 “미신에서 무당이 굿이나 푸닥거리를 할 때 귀신에게 빌면서 하는 지껄임”으로 풀이되어 있다. 필자가 고등학교 1학년 때 김소월 시 ‘비난수하는 밤’을 읽으면서 ‘비난수’의 뜻을 몰라 애태운 일이 있었는데 이것이 평안도 방언이었으니 모르는 것이 당연했다. “부성례는 가슴이 철렁했다. 도대체 무슨 판국일까? … 그는 무엇에 홀린 것처럼 두 발이 토방에 붙은 채 비난수에 심취되어 가는 강씨를 지켜보기만 했다.”(<그들의 운명>, 현희균, 문예출판사, 1984, 154쪽)와 같은 용례가 있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4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502
3282 찧다 / 빻다 바람의종 2010.07.30 16535
3281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510
3280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476
3279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465
3278 포클레인, 굴삭기 / 굴착기, 삽차 바람의종 2010.05.31 16452
3277 살아 진천 죽어 용인 바람의종 2008.01.15 16443
3276 맞고요, 맞구요 風磬 2006.09.09 16428
3275 조조할인 바람의종 2010.08.17 16308
3274 안전성 / 안정성 바람의종 2012.09.24 16271
3273 단수 정리 바람의종 2007.10.17 16262
3272 쟁이와 장이 바람의종 2010.03.24 16258
3271 외래어 받침 표기법 바람의종 2012.05.07 16253
3270 차지다 , 찰지다 바람의종 2012.09.04 16161
3269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119
3268 개차반 風磬 2006.09.14 16092
3267 단도리 바람의종 2008.02.04 16034
3266 우리말 속의 일본말 찌꺼기들 風磬 2006.09.07 16016
3265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010
3264 한풀 꺾이다 바람의종 2008.02.01 16004
3263 팔염치, 파렴치 / 몰염치, 염치, 렴치 바람의종 2012.10.02 16001
3262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5999
3261 겻불 風磬 2006.09.14 159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