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26 16:17

엄청

조회 수 1040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엄청

말에도 경제 원리가 적용되는 것 같다. 구개음화나 자음동화 등의 음운현상도 어려운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한 방편이다. 준말을 많이 만들어 쓰는 것도 그런 방편으로 이해할 수 있다. 준말은 주로 한자어에서 만들어졌지만, 근래에 와서는 ‘디카, 몰카’ 등에서 보듯이 다양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어른들이 알아들을 수 없는 준말이 많이 쓰인다고 한다.

“우리 집에서 조금 걸어 내려가면 엄청 큰 집 옆에 엄청 큰 나무가 있습니다.” 신문에 실린 에세이의 도입부다. ‘엄청’이 부사로 쓰이고 있다. 오래된 사전들을 찾아보면 ‘엄청나다’는 형용사로 올라 있지만 ‘엄청’은 올라 있지 않다. 이것은 ‘엄청’이 말밑이 되어 ‘엄청나다’ 또는 ‘엄청스럽다’라는 형용사로 파생된 것이 아니라, 거꾸로 형용사가 줄어들어 부사로 쓰이고 있음을 일러준다.

이렇게 줄어든 부사들이 상당히 많이 쓰이고 있다. ‘엄청, 무지, 완전, 본격, 강력, 훨’ 등은 사전이 어떻게 풀이하든 실생활에서는 부사로 쓰이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이 중 ‘엄청’, ‘무지’만 부사로 올려놓았다. 대중의 말살이를 무시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완전, 본격, 강력’은 명사로만 올려놓았고 ‘훨씬’의 준말인 ‘훨’은 아예 올려놓지 않았다.

그러나 사전이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지. ‘완전, 본격, 강력, 훨’ 등도 머지않아 부사로 사전에 오를 것 같은 추세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0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6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590
2358 에프원(F1) 바람의종 2011.11.21 8971
2357 에프엠 바람의종 2009.09.03 9594
2356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19992
2355 에두르기 바람의종 2008.05.24 7014
2354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22
2353 에다 / 에이다 바람의종 2009.06.15 10223
2352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01
2351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15
2350 에너지 음료 바람의종 2012.06.15 11508
2349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103
2348 엉덩이와 궁둥이 바람의종 2010.08.19 9679
2347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605
2346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55
2345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45
2344 엄치미 개겁구마! 바람의종 2010.04.30 10015
»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402
2342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235
2341 얽히고설키다 file 바람의종 2010.03.13 11346
2340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095
2339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21
2338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16
2337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5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