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24 15:44

구리무와 포마드

조회 수 1184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리무와 포마드

북녘에서 나와 남쪽에 정착한 여성들이 여기의 화장품을 고르기가 만만치 않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북녘에서는 화장품 종류도 단순하거니와 이름도 쉬운 우리말로 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매우 많은 종류에다가 영어 이름 일색이기 때문이다. 실은 남쪽 사람에게도 ‘베이스’, ‘파운데이션’, ‘에센스’ 등 우리의 화장품 이름은 화장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으면 거의 알 수 없는 전문용어처럼 여겨진다.

서양식 화장품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을 통해 들어왔다. 백분, 크림, 향수, 비누 따위가 이때 등장했다고 한다. 당시의 유명 제품으로는 ‘동동구리무’가 있었는데, 이는 러시아 행상들이 북을 ‘동동’ 울리며 ‘크림’(cream)의 일본말 발음인 ‘구리무’를 외쳤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것은 요즘처럼 포장된 물건이 아니라 필요한 만큼만 덜어서 살 수 있어서 여성들에게 대단히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얼마 후에는 남성 치장용품도 등장하였는데 1940년대에 처음 등장한 ‘포마드’(pomade)가 그것이다. 이는 사과라는 뜻의 프랑스말 ‘폼’(pomme)과 어원이 같은 말로서, 사과향이 나는 머릿기름을 이른다. 원래는 광물성 포마드가 들어와 있었는데, 어떤 국내 기업이 식물성 포마드를 개발하여 선풍적 인기를 끌었으며, 이를 발라서 뒤로 빗은 머리가 일류 멋쟁이의 상징이었다고 한다. 포마드는 1970년대에 인기를 잃었으나 헤어젤(hair gel), 무스(mousse), 헤어왁스(hair wax) 같은 제품들이 나와서 뒤를 잇고 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5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0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014
2468 하룻강아지 바람의종 2010.03.22 12164
2467 하냥 file 바람의종 2010.03.23 12442
2466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5918
2465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472
2464 거치다와 걸치다 바람의종 2010.03.23 15124
» 구리무와 포마드 바람의종 2010.03.24 11840
2462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283
2461 쟁이와 장이 바람의종 2010.03.24 16275
2460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401
2459 호분차 온나! file 바람의종 2010.03.26 12592
2458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바람의종 2010.03.26 13108
2457 결제와 결재 바람의종 2010.03.26 14636
2456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7934
2455 엑박 바람의종 2010.03.30 10887
2454 고주망태 바람의종 2010.03.30 13107
2453 ‘100만여원’과 ‘100여만원’ 바람의종 2010.03.30 12437
2452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25
2451 주마등 바람의종 2010.04.01 12373
2450 아니요와 아니오 바람의종 2010.04.01 11355
2449 몬뜰래기 벗곡! 바람의종 2010.04.02 11739
2448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5968
2447 써라와 쓰라 바람의종 2010.04.02 124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