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24 15:44

구리무와 포마드

조회 수 11823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리무와 포마드

북녘에서 나와 남쪽에 정착한 여성들이 여기의 화장품을 고르기가 만만치 않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북녘에서는 화장품 종류도 단순하거니와 이름도 쉬운 우리말로 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매우 많은 종류에다가 영어 이름 일색이기 때문이다. 실은 남쪽 사람에게도 ‘베이스’, ‘파운데이션’, ‘에센스’ 등 우리의 화장품 이름은 화장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으면 거의 알 수 없는 전문용어처럼 여겨진다.

서양식 화장품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을 통해 들어왔다. 백분, 크림, 향수, 비누 따위가 이때 등장했다고 한다. 당시의 유명 제품으로는 ‘동동구리무’가 있었는데, 이는 러시아 행상들이 북을 ‘동동’ 울리며 ‘크림’(cream)의 일본말 발음인 ‘구리무’를 외쳤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것은 요즘처럼 포장된 물건이 아니라 필요한 만큼만 덜어서 살 수 있어서 여성들에게 대단히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얼마 후에는 남성 치장용품도 등장하였는데 1940년대에 처음 등장한 ‘포마드’(pomade)가 그것이다. 이는 사과라는 뜻의 프랑스말 ‘폼’(pomme)과 어원이 같은 말로서, 사과향이 나는 머릿기름을 이른다. 원래는 광물성 포마드가 들어와 있었는데, 어떤 국내 기업이 식물성 포마드를 개발하여 선풍적 인기를 끌었으며, 이를 발라서 뒤로 빗은 머리가 일류 멋쟁이의 상징이었다고 한다. 포마드는 1970년대에 인기를 잃었으나 헤어젤(hair gel), 무스(mousse), 헤어왁스(hair wax) 같은 제품들이 나와서 뒤를 잇고 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1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73
2864 '간(間)'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27 11965
2863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1945
2862 제우 요것뿐이오! 바람의종 2010.01.20 11943
2861 ~던가, ~든가 바람의종 2008.07.12 11943
2860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43
2859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1933
2858 난이도, 난도 바람의종 2009.06.29 11927
2857 홍길동이라고 합니다 바람의종 2010.08.14 11925
2856 뇌졸중 / 뇌졸증 바람의종 2012.08.13 11918
2855 숟가락 바람의종 2010.05.28 11916
2854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1893
2853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892
2852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1884
2851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바람의종 2010.06.01 11884
2850 노일전쟁 바람의종 2010.06.19 11878
2849 좋은 아침! 바람의종 2008.03.27 11876
2848 황소바람 바람의종 2010.09.04 11872
2847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871
2846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868
2845 계피떡 바람의종 2011.11.16 11845
2844 말짱 도루묵이다 바람의종 2008.01.06 11842
2843 일본식 용어 - ㅇ 바람의종 2008.03.12 118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