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24 15:44

구리무와 포마드

조회 수 11837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리무와 포마드

북녘에서 나와 남쪽에 정착한 여성들이 여기의 화장품을 고르기가 만만치 않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북녘에서는 화장품 종류도 단순하거니와 이름도 쉬운 우리말로 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매우 많은 종류에다가 영어 이름 일색이기 때문이다. 실은 남쪽 사람에게도 ‘베이스’, ‘파운데이션’, ‘에센스’ 등 우리의 화장품 이름은 화장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으면 거의 알 수 없는 전문용어처럼 여겨진다.

서양식 화장품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을 통해 들어왔다. 백분, 크림, 향수, 비누 따위가 이때 등장했다고 한다. 당시의 유명 제품으로는 ‘동동구리무’가 있었는데, 이는 러시아 행상들이 북을 ‘동동’ 울리며 ‘크림’(cream)의 일본말 발음인 ‘구리무’를 외쳤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것은 요즘처럼 포장된 물건이 아니라 필요한 만큼만 덜어서 살 수 있어서 여성들에게 대단히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얼마 후에는 남성 치장용품도 등장하였는데 1940년대에 처음 등장한 ‘포마드’(pomade)가 그것이다. 이는 사과라는 뜻의 프랑스말 ‘폼’(pomme)과 어원이 같은 말로서, 사과향이 나는 머릿기름을 이른다. 원래는 광물성 포마드가 들어와 있었는데, 어떤 국내 기업이 식물성 포마드를 개발하여 선풍적 인기를 끌었으며, 이를 발라서 뒤로 빗은 머리가 일류 멋쟁이의 상징이었다고 한다. 포마드는 1970년대에 인기를 잃었으나 헤어젤(hair gel), 무스(mousse), 헤어왁스(hair wax) 같은 제품들이 나와서 뒤를 잇고 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5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0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946
2226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590
2225 진작에 바람의종 2010.03.07 7594
2224 자라목 바람의종 2007.03.16 7595
2223 혈혈단신 바람의종 2007.12.24 7596
2222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598
2221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600
2220 깡패 바람의종 2008.02.03 7600
2219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602
2218 칠칠한 맞춤법 바람의종 2008.04.25 7606
2217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607
2216 평가하다, 때문에 바람의종 2008.11.21 7611
2215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613
2214 죽이란대두 바람의종 2008.11.27 7615
2213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620
2212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621
2211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623
2210 걸씨 오갔수다 바람의종 2009.10.08 7624
2209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626
2208 잊혀진(?) 계절 바람의종 2008.05.27 7628
2207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34
2206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35
2205 무단시 왜 그리 쌓소! 바람의종 2010.01.28 76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