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24 15:44

구리무와 포마드

조회 수 11819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리무와 포마드

북녘에서 나와 남쪽에 정착한 여성들이 여기의 화장품을 고르기가 만만치 않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북녘에서는 화장품 종류도 단순하거니와 이름도 쉬운 우리말로 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매우 많은 종류에다가 영어 이름 일색이기 때문이다. 실은 남쪽 사람에게도 ‘베이스’, ‘파운데이션’, ‘에센스’ 등 우리의 화장품 이름은 화장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으면 거의 알 수 없는 전문용어처럼 여겨진다.

서양식 화장품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을 통해 들어왔다. 백분, 크림, 향수, 비누 따위가 이때 등장했다고 한다. 당시의 유명 제품으로는 ‘동동구리무’가 있었는데, 이는 러시아 행상들이 북을 ‘동동’ 울리며 ‘크림’(cream)의 일본말 발음인 ‘구리무’를 외쳤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것은 요즘처럼 포장된 물건이 아니라 필요한 만큼만 덜어서 살 수 있어서 여성들에게 대단히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얼마 후에는 남성 치장용품도 등장하였는데 1940년대에 처음 등장한 ‘포마드’(pomade)가 그것이다. 이는 사과라는 뜻의 프랑스말 ‘폼’(pomme)과 어원이 같은 말로서, 사과향이 나는 머릿기름을 이른다. 원래는 광물성 포마드가 들어와 있었는데, 어떤 국내 기업이 식물성 포마드를 개발하여 선풍적 인기를 끌었으며, 이를 발라서 뒤로 빗은 머리가 일류 멋쟁이의 상징이었다고 한다. 포마드는 1970년대에 인기를 잃었으나 헤어젤(hair gel), 무스(mousse), 헤어왁스(hair wax) 같은 제품들이 나와서 뒤를 잇고 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8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3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476
290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177
2907 구구히, 구구이 바람의종 2012.01.07 8744
2906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4920
2905 구랍 바람의종 2008.11.13 6725
2904 구랍 바람의종 2010.11.05 11147
2903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57
» 구리무와 포마드 바람의종 2010.03.24 11819
2901 구메구메 바람의종 2010.11.26 10728
2900 구명과 규명 바람의종 2010.10.13 11019
2899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171
2898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474
2897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31
2896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078
2895 구소련 바람의종 2010.07.20 11799
2894 구슬러, 구슬려 / 거슬러, 거슬려 바람의종 2009.11.15 11034
2893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06
2892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010
2891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331
2890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138
2889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379
2888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149
2887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