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22 09:57

머지않아

조회 수 1125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머지않아

형용사 ‘멀다’는 공간적 의미와 시간적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다. “먼 길을 왔다”고 하면 공간적으로 멀다는 뜻이고 “먼 훗날 다시 만나자”고 하면 시간적으로 멀다는 뜻이다.

“한국 우주인, 미 우주선 탈 날 머지않아” 신문기사 제목이다. ‘머지않다’는 시간을 나타낸다. ‘멀지 않다’를 붙여 썼고, 어간 ‘멀’의 ㄹ이 탈락했다. 붙여 썼다는 것은 ‘머지않다’를 하나의 단어로 본다는 것이다. 하나의 단어로 보는 이상 ‘머지않다’가 안고 있는 문법 사항들은 의미가 없어진다. ‘멀다’의 활용형 ‘멀지’에 보조형용사 ‘않다’가 결합되었다는 따위의 분석은 별 의미가 없는 것이다. ‘머지않다’ 자체로 하나의 단어이기 때문에.

ㄹ 탈락은 우리말에서 흔히 일어난다. ㄹ은 체언과 조사의 연결, 용언의 활용에서도 다른 자음들과는 사뭇 다른 변화를 보인다. 따져보자면 음운에 대한 복잡한 설명을 요하기 때문에, 그냥 ㄹ로 끝난 말에 ‘ㄴ, ㄷ, ㅅ, ㅈ’ 등으로 시작하는 형태소를 결합하여 복합어를 만들 때 ㄹ이 탈락하는 경우가 많다는 정도로만 알아두면 되겠다.

성안당 국어사전(남영신 엮음)은 ‘머지않아’를 부사로 올려놓았다. ‘멀지 않아’가 ‘곧’의 뜻으로 쓰이면서 ㄹ이 탈락한 채 익은말로 바뀐 형태라고 풀이하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머지않다’를 형용사로 올려놓았으나 ‘머지않아’는 별개의 단어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참고로, 위에 든 신문기사 제목의 ‘머지않아’는 부사나 부사형이 아니고 그 자체로 종결을 나타내는 꼴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0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6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82
1258 디귿불규칙용언 바람의종 2010.03.16 12884
1257 궂기다 바람의종 2010.03.16 12234
1256 하지 말아라, 하지 마라 바람의종 2010.03.16 12510
1255 이음새 바람의종 2010.03.16 10632
1254 클래식 바람의종 2010.03.17 12275
1253 깃들다와 깃들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808
1252 ‘-든지’는 선택,‘-던지’는 회상 바람의종 2010.03.17 12372
1251 끝발, 끗발 바람의종 2010.03.17 15746
1250 ~중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257
1249 입장 바람의종 2010.03.18 12020
1248 상구 울어 싸 file 바람의종 2010.03.18 11674
1247 못하다 바람의종 2010.03.18 10808
1246 합쇼체 바람의종 2010.03.18 12321
1245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224
1244 돈 깨나 있냐? / 돈은 커녕 바람의종 2010.03.18 10594
1243 오락·문화용어 바람의종 2010.03.19 14422
1242 사인 바람의종 2010.03.19 11277
1241 아내와 부인 바람의종 2010.03.19 10618
1240 옛부터? 바람의종 2010.03.19 14467
1239 걷잡아 / 겉잡아 바람의종 2010.03.19 12228
1238 앞꿈치 / 뒤꿈치 바람의종 2010.03.19 11812
» 머지않아 바람의종 2010.03.22 112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