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14 07:03

마초

조회 수 792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초

근래에 유행하는 말로 ‘육식남’(肉食男) 또는 ‘짐승남’이라는 표현이 있다. 여성적이고 부드러운 이미지의 남성인 ‘초식남’(草食男)과 반대되는 것으로서, 간단히 말하면 남성적인 매력을 풍기는 남자라는 뜻이라 한다. 그런데 이런 특성이 매력을 넘어서서 도가 지나쳐 부정적으로 인식되면 ‘마초’(macho)가 된다. 우리가 쓰는 마초는 남자 또는 수컷을 뜻하는 에스파냐 말이 바로 우리에게 전해진 것이 아니라 영어로 들어간 다음 들어온 말로 여겨진다. 왜냐하면 영어에서 우리처럼 ‘마초’를 부정적으로 사용하고, 비교적 최근에 들어왔기에 굳이 일본어를 통해서 들어왔다고 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영어에서는 형용사로서 1928년에 처음 사용되었고, 1951년에 명사로서 처음 사용되었다는 웹스터 사전의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의 언론매체에서는 한국언론재단의 누리집 검색 결과 1995년 1월의 영화 관련 기사문에서 처음 쓴 것으로 파악된다.(“이 작품들은 기존의 영화가 부각해 온 강한 남성의 ‘마초이미지’나 여성에 대한 ‘가해자’라는 고정된 인식에서 벗어나 남성의 보다 본질적이고 일상적인 문제에 접근하고 있기도 하다.” - <한국일보> 1995년 1월25일치 15면)

한편, ‘마초’와 유사한 외래어로 ‘터프가이’(tough guy)가 있는데, 후자에는 부정적인 면이 없다는 차이가 있으며, ‘육식남’과 ‘짐승남’은 ‘터프가이’이면서 유행을 선도하는 멋과 부드러움까지 두루 갖추었다고 한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65
2512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940
2511 삼수갑산 바람의종 2010.03.07 10062
2510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79
2509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61
2508 하릴없다와 할 일 없다 바람의종 2010.03.08 13378
2507 동티 바람의종 2010.03.08 10599
2506 홀씨 바람의종 2010.03.09 15329
2505 생때같다 바람의종 2010.03.09 12588
2504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703
2503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767
2502 은어와 속어 바람의종 2010.03.10 10859
2501 햇빛은 눈부시고,햇볕은 뜨겁다 바람의종 2010.03.10 10326
2500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565
2499 영어로 들어간 우리말 바람의종 2010.03.12 11172
2498 둥개다 바람의종 2010.03.12 11832
2497 매기다와 메기다 바람의종 2010.03.12 19608
2496 얽히고설키다 file 바람의종 2010.03.13 11346
2495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295
2494 금시에, 금세, 금새, 그새 바람의종 2010.03.13 15152
2493 안전과 안정 바람의종 2010.03.13 11381
2492 젊은이들의 유행어 바람의종 2010.03.14 9450
»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