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16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영어로 들어간 우리말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는 말을 남겼다. 우리 인간에게는 여럿이 모여 사회를 이루고 사는 특성이 있다는 뜻이다. 더 나아가 인간이 이룬 사회는 다른 사회와 함께 더 큰 사회를 이룬다. 그래서 언어마다 외래어가 생길 수밖에 없다. 우리말도 주변의 다른 언어에 크고 작은 영향을 주었으며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이다. 교통과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지리적으로 멀리 있는 언어들도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데, 몇몇 영어사전에 올라가 있는 우리말이 있어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의 대표적인 사전인 웹스터 사전에는 우리말 일반명사가 대여섯 개 실려 있다. 그 가운데 영어에 처음 쓰인 해가 확인되는 것은 ‘한글’(hangul), ‘재벌’(chaebol), ‘태권도’(taekwondo, T&K&D로 줄여 쓰기도 함), ‘소주’(soju), ‘김치’(kimchi 또는 kimchee) 정도이다. 이 가운데 가장 먼저 쓰인 것은 무엇일까? ‘한글’이 그 영광을 차지하지 않았을까 생각하기 쉽지만, 그것은 1898년에 출현한 ‘김치’이다. 그 뒤를 1946년의 ‘한글’이 차지했다. ‘태권도’는 1967년, ‘소주’는 1978년, ‘재벌’은 1984년에 쓰였다.

‘소주’를 제외한 나머지의 로마자 표기가 우리의 로마자 표기법과 맞지 않으나, 이 말들이 이미 영어의 일부가 되었기 때문에 고쳐달라고 요청하기에는 어려운 면이 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7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2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169
950 애끊다와 애끓다 바람의종 2010.03.15 13139
949 전철련 바람의종 2010.03.15 8540
948 명사형 어미 바람의종 2010.03.14 9171
947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092
946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22
945 젊은이들의 유행어 바람의종 2010.03.14 9440
944 안전과 안정 바람의종 2010.03.13 11371
943 금시에, 금세, 금새, 그새 바람의종 2010.03.13 15152
942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290
941 얽히고설키다 file 바람의종 2010.03.13 11344
940 매기다와 메기다 바람의종 2010.03.12 19606
939 둥개다 바람의종 2010.03.12 11826
» 영어로 들어간 우리말 바람의종 2010.03.12 11164
937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537
936 햇빛은 눈부시고,햇볕은 뜨겁다 바람의종 2010.03.10 10297
935 은어와 속어 바람의종 2010.03.10 10857
934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763
933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690
932 생때같다 바람의종 2010.03.09 12585
931 홀씨 바람의종 2010.03.09 15286
930 동티 바람의종 2010.03.08 10591
929 하릴없다와 할 일 없다 바람의종 2010.03.08 133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