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10 03:53

은어와 속어

조회 수 10859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은어와 속어

‘야리까다가 담탱이한테 걸리면 얄짝없어.’ 이는 ‘담배 피우다가 담임선생님한테 걸리면 인정사정 없다’는 뜻이다. 최근 우리 신세대 학생들이 쓰는 ‘그들만의’ 언어다. 북녘에도 은어와 속어가 있다.

우선 체제에 대한 것이 있다. ‘견본상품’은 상품에 진열되어 있으나 팔지 않는 물건처럼 ‘노력영웅’이라는 칭호와 표창을 받긴 했지만 생산 현장에서는 쓸모가 없는 당원을 이른다. ‘계부살이’는 지도자의 위안부(기쁨조)들이 마음에 드는 중앙당원 남자를 지목하면 그 남자는 할 수 없이 강제로 결혼해야 하는데 이때의 남자 처지를 이르는 말이다. ‘물어먹기’는 당 학습회의나 각종 집회에서 상호비판이라는 이름 아래 남의 흠을 들추어내거나 동료를 모함하는 풍조가 만연한 데서 나온 말이다.

가정생활에 관한 것도 있다. 장사 등으로 남편보다 돈을 많이 버는 여성들에게 남편 경시 태도가 만연한데, 이들은 남편을 ‘멍멍이’, ‘자물쇠’, ‘풍경화’, ‘옷걸이’ 등으로 부른다. ‘멍멍이’와 ‘자물쇠’는 가정에서 물 긷기, 돼지 기르기, 집 보기 등 집안일을 하는 ‘북한판 셔터맨’이다. ‘풍경화’는 집안일에는 신경을 쓰지 않고 외모만 가꾸는 노는 건달이고, ‘옷걸이’는 부인이 직장에 나간 사이에 친구를 불러들여 방탕한 생활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데 이는 북녘의 여성들이 가장 멸시하는 부류이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3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8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796
2512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930
2511 삼수갑산 바람의종 2010.03.07 10062
2510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79
2509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56
2508 하릴없다와 할 일 없다 바람의종 2010.03.08 13369
2507 동티 바람의종 2010.03.08 10591
2506 홀씨 바람의종 2010.03.09 15317
2505 생때같다 바람의종 2010.03.09 12587
2504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693
2503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767
» 은어와 속어 바람의종 2010.03.10 10859
2501 햇빛은 눈부시고,햇볕은 뜨겁다 바람의종 2010.03.10 10319
2500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544
2499 영어로 들어간 우리말 바람의종 2010.03.12 11167
2498 둥개다 바람의종 2010.03.12 11829
2497 매기다와 메기다 바람의종 2010.03.12 19608
2496 얽히고설키다 file 바람의종 2010.03.13 11346
2495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292
2494 금시에, 금세, 금새, 그새 바람의종 2010.03.13 15152
2493 안전과 안정 바람의종 2010.03.13 11371
2492 젊은이들의 유행어 바람의종 2010.03.14 9446
2491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