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09 02:25

홀씨

조회 수 15317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홀씨

1970년대에 발표한 오영수의 <실겆이꽃>이라는 중편소설에는 제목과 같은 실겆이꽃이라는 식물 이름이 나온다. 실겆이꽃은 소설의 배경인 제주도 말이거나, 아니면 작가가 지어낸 가공의 식물로 여겨진다. 씨에 갈퀴 같은 것이 있어서 지나가는 사람이나 짐승에 묻어 다니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식물도 대를 잇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으로 씨를 퍼뜨린다. 씨에 깃털 같은 것이 붙어 있어 바람에 날려가기도 하고, 새나 짐승의 먹이가 되어 흩어지기도 한다. 또 소설 속의 실겆이꽃처럼 사람이나 짐승에게 달라붙어 멀리까지 퍼뜨리는 것도 있다.

“홀씨는 스스로 방향을 찾지 못한다. 바람이 부는 대로 간다.” 신문에 게재된 에세이의 한 구절이다. 글 바탕에는 바람에 날려가는 민들레 씨앗이 그려져 있었다. 아마도 작가는 민들레처럼 깃털 같은 것이 있어서 바람에 잘 날려가는 씨앗을 ‘홀씨’라고 알고 있는 듯하다.

홀씨는 식물이 무성생식을 할 때 만들어내는 생식세포를 이른다. 보통 단세포로 움이 트기 때문에 홀씨라고 한다. ‘홀’은 단(單)의 우리말이다. 이렇게 꽃이 피지 않고 홀씨에 의해 번식하는 식물을 포자식물이라고 한다. 흔히 볼 수 있는 포자식물로는 고사리가 있다. 중·고등학교에 다닐 때 생물 시간에 고사리의 세대 교번을 공부하면서 ‘장란기’ 또는 ‘장정기’라고 하여 홀씨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배운 기억을 되살려 보면 될 것 같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3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8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752
2512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18
2511 우리애기 바람의종 2009.04.03 7021
2510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026
2509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026
2508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26
2507 십팔번 바람의종 2007.10.22 7028
2506 자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4 7029
2505 짝벗 일컫기 바람의종 2008.03.29 7029
2504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7033
2503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34
2502 애기 바람의종 2009.12.04 7037
2501 설둥하다 바람의종 2008.04.25 7039
2500 볼멘소리 風磬 2006.12.20 7040
2499 '이' '히' 거참 헷갈리네 바람의종 2008.07.03 7042
2498 며칠 바람의종 2009.05.21 7045
2497 (뒷)바라지 風磬 2006.11.16 7050
2496 명량·울돌목 바람의종 2008.03.30 7055
2495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08.10.20 7063
2494 몸 달은 바람의종 2012.08.21 7064
2493 행여 바람의종 2008.03.28 7067
2492 도미진 이야기 바람의종 2008.07.16 7076
2491 사또 風磬 2006.12.26 70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