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08 01:02

아우라

조회 수 987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우라

‘요즘은 예술품의 아우라가 증발하였다’, ‘그에게서 자신만의 아우라가 풍긴다’, ‘~의 아우라에도 주눅 들지 않고’, ‘~을 수련한 사람에게는 고유한 아우라가 생긴다’ 등에서 ‘아우라’라는 말이 보인다. 인터넷 상점의 이름으로도 많이 등장한다. 요 몇 년 전부터 자주 들리는 이 말이 언제부터 쓰이기 시작했을까 싶어 찾아보니, 언론 매체에서는 1994년에 처음 나타났다.(“판화만의 취약점이랄 수 있는 복제적 메커니즘으로 ‘아우라’를 상실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페인팅 붓질의 묘미를 강렬히 전달해줘 새로운 위상을 확보해내고 있는 것이다.” <세계일보> 1994년 5월7일치 11면)

‘아우라’(aura)는 원래 독일말에서 ‘미묘한 분위기’ 또는 의학용어로서 몸에 이상이 생기기 전에 나타나는 현상을 뜻하는 ‘전조’(前兆)라는 의미다. 그러다가 독일의 철학자 발터 베냐민이 ‘흉내낼 수 없는 예술작품의 고고한 분위기’라는 뜻으로 쓰기 시작하였고, 이것이 바로 우리가 요즘 접하는 아우라의 뜻이다. 그래서 우리 사회에서도 의학용어로서는 1994년 이전에 이미 쓰였을 것이고, 철학용어로서도 그전에 쓰이던 것이 언론 매체에 등장하면서 일반으로 퍼지기 시작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아우라를 ‘오라’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이는 영어식 발음을 취한 것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말이 아니다. 또 극지방에서 볼 수 있는 대기 발광 현상인 ‘오로라’(aurora)와는 서로 관련이 없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9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196
2512 수근거리다, 소근거리다 바람의종 2010.01.26 10700
2511 죽음을 당하다 바람의종 2010.01.26 10769
2510 배워 주다 바람의종 2010.01.23 11305
2509 움추리다 / 움츠리다, 오무리다 / 오므리다, 수구리다 / 수그리다 바람의종 2010.01.23 15494
2508 봇물을 이루다 바람의종 2010.01.22 12147
2507 그만한 / 그만 한, 한걸음 / 한 걸음, 그만해야지 / 그만 해야지 바람의종 2010.01.22 11274
2506 천만에 말씀 바람의종 2010.01.20 9766
2505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508
2504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228
2503 '대'와 '선' 바람의종 2010.01.19 6633
2502 사잇길 바람의종 2010.01.18 6874
2501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931
2500 냄비, 남비 바람의종 2010.01.15 13493
2499 응큼, 엉큼, 앙큼 바람의종 2010.01.14 14064
2498 박빙, 살얼음 바람의종 2010.01.11 10970
2497 문장의 앞뒤 바람의종 2010.01.10 8275
2496 ~으로 / ~을 알고 있다 바람의종 2010.01.09 9943
2495 부축빼기 바람의종 2010.01.08 9945
2494 초죽음 바람의종 2010.01.06 10893
2493 눈꼬리 바람의종 2009.12.23 13011
2492 총뿌리, 돌뿌리 바람의종 2009.12.23 11359
2491 어딜 갈려고 바람의종 2009.12.18 80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