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08 01:02

아우라

조회 수 9869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우라

‘요즘은 예술품의 아우라가 증발하였다’, ‘그에게서 자신만의 아우라가 풍긴다’, ‘~의 아우라에도 주눅 들지 않고’, ‘~을 수련한 사람에게는 고유한 아우라가 생긴다’ 등에서 ‘아우라’라는 말이 보인다. 인터넷 상점의 이름으로도 많이 등장한다. 요 몇 년 전부터 자주 들리는 이 말이 언제부터 쓰이기 시작했을까 싶어 찾아보니, 언론 매체에서는 1994년에 처음 나타났다.(“판화만의 취약점이랄 수 있는 복제적 메커니즘으로 ‘아우라’를 상실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페인팅 붓질의 묘미를 강렬히 전달해줘 새로운 위상을 확보해내고 있는 것이다.” <세계일보> 1994년 5월7일치 11면)

‘아우라’(aura)는 원래 독일말에서 ‘미묘한 분위기’ 또는 의학용어로서 몸에 이상이 생기기 전에 나타나는 현상을 뜻하는 ‘전조’(前兆)라는 의미다. 그러다가 독일의 철학자 발터 베냐민이 ‘흉내낼 수 없는 예술작품의 고고한 분위기’라는 뜻으로 쓰기 시작하였고, 이것이 바로 우리가 요즘 접하는 아우라의 뜻이다. 그래서 우리 사회에서도 의학용어로서는 1994년 이전에 이미 쓰였을 것이고, 철학용어로서도 그전에 쓰이던 것이 언론 매체에 등장하면서 일반으로 퍼지기 시작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아우라를 ‘오라’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이는 영어식 발음을 취한 것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말이 아니다. 또 극지방에서 볼 수 있는 대기 발광 현상인 ‘오로라’(aurora)와는 서로 관련이 없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9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6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513
1214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34
1213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937
1212 부축빼기 바람의종 2010.01.08 9940
1211 아구, 쭈꾸미 바람의종 2011.11.13 9943
1210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949
1209 예쁜 걸, 예쁜걸 바람의종 2009.07.31 9951
1208 일본식 용어 - 개~계 바람의종 2008.03.04 9952
1207 끊을래야/끊으려야, 뗄래야/떼려야, 먹을래야/먹으려야 바람의종 2008.06.05 9955
1206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58
1205 깨치다, 깨우치다 바람의종 2009.05.24 9966
1204 어수룩하다와 어리숙하다 바람의종 2010.01.10 9967
1203 으악새 바람의종 2008.01.31 9969
1202 장사 잘돼? 바람의종 2008.06.11 9970
1201 욕지거리. 욕지기 바람의종 2009.02.14 9971
1200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972
1199 계좌, 구좌 바람의종 2012.09.11 9973
1198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9978
1197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바람의종 2009.11.10 9992
1196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992
1195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994
1194 살찌다, 살지다 바람의종 2010.04.07 9995
1193 재원(才媛), 향년 바람의종 2009.05.30 99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