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05 01:33

방송 용어

조회 수 842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방송 용어

생전에 김일성 주석은 “오늘 남조선 방송에서는 여자들이 남자에게 아양을 떠는 코맹맹이 소리를 그대로 쓰고 있다” 하며 서울의 방송 언어를 못마땅해한 일이 있다. 북녘에서 남한 방송을 몰래 들었던 탈북 서울 거주자는 부드럽고 고운 목소리에 매료되어 아나운서나 성우의 얼굴을 보고 싶었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북녘의 방송 언어는 아직도 힘차고, 거칠고, 기세가 등등하다. 때로는 욕설도 서슴지 않는다.

1994년 ‘서울 불바다’ 발언으로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한 박영수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서기국 부국장은, 성명을 발표할 때 품위 있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설득력을 높이는 방법이 아니냐는 남녘 기자의 질문에 “사람들이 생명처럼 여기는 데에 칼질을 할 때 우리의 감정이 어떨지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2000년 6월 남북 정상회담 때 우리는 리춘희 조선중앙방송위원회 방송원(아나운서)이 오후 5시와 8시 두 차례에 걸쳐 <조선중앙텔레비전>의 보도 프로그램을 통해 10분간 뉴스를 전하는 것을 들을 수 있었다. 그는 1974년부터 지금까지 같은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다는데, 지금도 하루 3시간 이상 신문 읽기 훈련을 하고 있다고 한다.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위원장에 대한 보도를 할 때는 ‘경건한 마음을 안고 정중하게’ 해야 하고, ‘원쑤’를 치는 보도의 경우에는 ‘증오심’을 가지고 목소리를 높여야 하는데, 이런 훈련을 하는 데는 신문 읽기가 가장 적절하기 때문이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2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7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609
1940 영부인 바람의종 2009.12.14 8289
1939 국어의 품사 1 바람의종 2009.12.14 15008
1938 쌈마이 바람의종 2009.12.14 9419
1937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23
1936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834
1935 애기 바람의종 2009.12.04 7042
1934 빈축, 효빈, 눈살, 눈쌀 바람의종 2009.12.04 14371
1933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587
1932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989
1931 실랑이 바람의종 2009.12.04 8992
1930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10066
1929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84
1928 됐거든 바람의종 2009.12.01 8732
1927 아리아리 바람의종 2009.12.01 10894
1926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863
1925 선크림 바람의종 2009.12.01 7903
1924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34
1923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74
1922 땜빵 바람의종 2009.11.29 21397
1921 차별하는 말 미망인 1 바람의종 2009.11.29 10434
1920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416
1919 싸목싸목 허소! 바람의종 2009.11.29 97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