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04 00:29

가능성이 높다

조회 수 1165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능성이 높다

주어와 술어의 정확한 호응은 문장의 완성도를 높여준다. 주술이 어긋나 있는 문장은 아예 말할 것도 없지만, 문법 형식으로는 주술 관계가 어긋남이 없어 보이는데도 어쩐지 어색한 느낌이 드는 경우가 있다. 주어와 술어가 착 달라붙지 않을 때 이런 느낌이 든다.

“능력이 확인된 인물이 총리가 될 가능성이 높다. … 부패로 나아갈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임기에 제한이 없다.” 신문 칼럼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가능성’이라는 주어에 ‘높다/적다’라는 술어가 호응하고 있다. ‘높다’가 정확한 용어라면 반대의 경우에는 ‘적다’가 아니라 ‘낮다’를 써야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적다’가 정확한 용어라면 반대의 경우에는 ‘높다’가 아니라 ‘많다’를 써야 할 것이다.

높낮이, 크기, 수량 따위를 나타내는 형용사는 대립이 확실하다. ‘높다/낮다, 크다/작다, 많다/적다’에서 보듯이 확실한 짝을 이루고 있다. 이런 형용사들을 주어와 호응시킬 경우에는 같은 짝끼리 맞세워야 반듯하다. ‘높다/적다’, ‘크다/낮다’ 또는 ‘많다/작다’라는 짝을 만들면 매우 어색하게 전달된다.

‘가능성’이라는 주어에는 어떤 짝을 쓰는 것이 좋을까? ‘크다/작다’가 잘 어울린다. 어느 고등학교 학생들의 대학 합격이라는 문제를 놓고 ‘합격 가능성’은 ‘크다/작다’, 합격률은 ‘높다/낮다’, 합격자 수는 ‘많다/적다’로 하면 반듯하다. 여기서 술어를 바꿔 보면 아예 말이 안 되거나 어색하게 느껴질 것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8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3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335
3194 포퓰리즘 / 특칭화의 문제 風文 2020.07.15 2095
3193 포클레인, 굴삭기 / 굴착기, 삽차 바람의종 2010.05.31 16444
3192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9934
3191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1840
3190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1589
3189 평가하다, 때문에 바람의종 2008.11.21 7590
3188 편한 마음으로 風文 2021.09.07 918
3187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019
3186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0846
3185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364
3184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6846
3183 퍼센트포인트 바람의종 2011.11.24 13309
3182 퍼드레기 바람의종 2012.09.28 12812
3181 패이다 바람의종 2008.12.11 14779
3180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8994
3179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343
3178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8962
3177 팥죽에 새알심 바람의종 2010.11.01 11169
3176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8902
3175 팔염치, 파렴치 / 몰염치, 염치, 렴치 바람의종 2012.10.02 16001
3174 팔색조 바람의종 2009.10.07 7968
3173 파티쉐 바람의종 2009.09.18 101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