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02 22:17

그르이께 어짤랑교?

조회 수 6198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르이께 어짤랑교?

‘그르이께’는 “그리이께네”와 더불어 표준어 ‘그러니까’에 대응하는 전형적인 경상도 고장말이다. ‘그르이께’의 또다른 형태의 고장말로는 ‘그러이께, 그러이까, 그르이깨’와 ‘그러니까니, 그러이까네, 그러이꺼네, 그르이께네’ 등을 들 수 있다. 위의 고장말들은 대부분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쓰지만, ‘그러니까니’는 강원·제주·충청도에서도 두루 쓰며, ‘그러이까네’는 강원도에서도 쓰는 말이다. “그르이께 딸 너이를 그릏게 놨대요.”(<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그르이께네 인제 그래고 디루고 갔부랬그던.”(위 책) “그러니까니 뭘 먹을 때는 고시래도 좀 하고 해야 한다구.”(<장한몽> 이문구) “그러이까 넘어가 뿌린 기지요.”(<노을> 김원일)

 또한 ‘그러니까’에 대응하는 전라도 고장말로는 ‘긍께, 그렁께, 그랑께’ 등을 들 수 있으며, 제주도 고장말로는 ‘게나네’와 ‘게난’을 들 수 있다. ‘긍께’는 주로 전라도에서만 쓰는 말이지만, ‘그렁께’는 전라도뿐만 아니라 충청도·전라도와 인접한 경상도에서도 쓰는 말이다. 특히 ‘그랑께’는 전남 지역에서 주로 쓴다. “긍께 내가 시방 미안하다고 안 그랬소.”(<부초> 한수산) “그랑께 공연히 사람 욕뵈지 마시오잉.”(<외촌장 기행> 김주영) “게난 뭐 이제 팡(파서) 봐사(봐야) 알주마는(알겠지만)…”(<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게나네 원 아도(말해도) 대답도 안 해연(했어).”(위 책)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90
2820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68
2819 넘이·넘우 바람의종 2009.02.14 6273
2818 노트·노트북 바람의종 2009.07.17 6273
2817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6279
2816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79
2815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85
2814 불닭 바람의종 2009.07.13 6285
2813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294
2812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95
2811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298
2810 발발아 바람의종 2009.10.06 6301
2809 세대주 바람의종 2008.11.23 6307
2808 애기똥풀 바람의종 2008.02.21 6312
2807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318
2806 음반이요? 바람의종 2008.09.18 6322
2805 도요새 바람의종 2009.08.29 6333
2804 모밀국수 바람의종 2009.02.12 6335
2803 토씨의 사용 바람의종 2009.05.31 6335
2802 진정서 바람의종 2009.07.16 6338
2801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340
2800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342
2799 전세값, 삭월세 바람의종 2008.11.11 63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