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28 22:01

블루스

조회 수 9021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블루스

우리 외래어로서 ‘블루스’(blues)는 크게 두 가지 뜻으로 쓰인다. 하나는 서양 대중음악의 갈래 가운데 하나를 일컫고, 다른 하나는 역시 서양에서 들어온 춤 가운데 하나를 가리킨다.

대중음악 블루스는 미국에서 만들어지고 재즈(jazz)의 기반이 된, 두 박자 또는 네 박자의 애조를 띤 악곡 형식을 말한다. 이는 노예제도가 있던 시절 미국 남부에서 흑인들이 부르던 노동요나 필드홀러(field holler)라는 선창과 후창으로 구성된 합창요가 그 기원으로 여겨진다. 원래는 고단한 노예생활의 비참함을 달래려 슬픈 곡조만을 사용하였고, ‘우울하다’ 또는 ‘슬프다’는 뜻의 영어 형용사 ‘블루’를 토대로 그 이름이 만들어졌는데, 나중에 시대가 바뀌면서 밝은 느낌이 나는 곡조나 포크, 컨트리, 록 음악의 요소 등이 더해져서 지금은 아주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흑인의 블루스처럼 애절하게 들리는 트로트(trot)풍 대중가요 제목에 블루스라는 표현이 많이 쓰이는 탓에 트로트가 곧 블루스로 인식되는 면이 없지 않지만 이는 서로 다른 음악 형식이다.

일본말 ‘부루스’(ブル─ス)의 영향을 받은 듯 ‘브루스’나 ‘부루스’로 표기하기도 하면서 예전에는 양춤이라고도 했던, 남녀가 껴안고 천천히 추는 춤을 블루스라고 하지만, 이것은 원래 이런 춤을 일컫는 표현은 아니므로 일종의 ‘콩글리시’이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1355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7850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2784
    read more
  4. 근낭 가디!

    Date2010.02.12 By바람의종 Views7732
    Read More
  5. 접수하다

    Date2010.02.12 By바람의종 Views8411
    Read More
  6. 천둥벌거숭이

    Date2010.02.12 By바람의종 Views9276
    Read More
  7. 술과 음식

    Date2010.02.15 By바람의종 Views8365
    Read More
  8. 멘트

    Date2010.02.15 By바람의종 Views8474
    Read More
  9. 갯벌과 개펄

    Date2010.02.15 By바람의종 Views9579
    Read More
  10. 시울

    Date2010.02.15 By바람의종 Views6870
    Read More
  11. ‘첫날밤이요’

    Date2010.02.21 By바람의종 Views9665
    Read More
  12. 주최와 주관

    Date2010.02.21 By바람의종 Views9042
    Read More
  13. 보어

    Date2010.02.21 By바람의종 Views9150
    Read More
  14. 북녘의 수학 용어

    Date2010.02.22 By바람의종 Views7643
    Read More
  15. 디카, 필카, 셀카

    Date2010.02.22 By바람의종 Views9526
    Read More
  16. 띠다와 띄다

    Date2010.02.22 By바람의종 Views10119
    Read More
  17. 왠지? 웬지?

    Date2010.02.22 By바람의종 Views9730
    Read More
  18. 반어법

    Date2010.02.23 By바람의종 Views9011
    Read More
  19.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Date2010.02.23 By바람의종 Views8306
    Read More
  20. 어간에서 ‘하’의 줄임

    Date2010.02.23 By바람의종 Views10786
    Read More
  21. 그라모 어쩝니껴?

    Date2010.02.25 By바람의종 Views7336
    Read More
  22. 북녘의 경제 용어

    Date2010.02.25 By바람의종 Views8275
    Read More
  23. 강다짐

    Date2010.02.25 By바람의종 Views9796
    Read More
  24. 썩이다와 썩히다

    Date2010.02.25 By바람의종 Views10112
    Read More
  25. 블루스

    Date2010.02.28 By바람의종 Views902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