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25 14:06

북녘의 경제 용어

조회 수 8281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북녘의 경제 용어

북쪽에서는 ‘자본’이라는 말을 절대로 쓰지 않는다. 화폐, 재산 등으로 구체적인 표현을 한다. 이 밖에도 경제에 있어 표현 차이가 심해 앞으로 남북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를 마련할 때 표현 방법을 둘러싸고 적지 않은 논란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남한 경제에 예속되기를 싫어하는 북한이 특정한 표현을 꼭 넣겠다고 고집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금융, 경제 행위, 기업이나 생산 현장, 경제 계획, 농수산업 등에서 남북의 차이를 살펴보기로 한다.

남쪽 말의 ‘계좌’를 북쪽에서는 ‘돈자리’라고 하여 ‘외환돈자리’, ‘조선원돈자리’ 등으로 쓰고 있다. 남쪽에서 한때 ‘구좌’를 쓴 일이 있는데 이는 일본어식 용어이다. ‘수표’는 ‘행표’, ‘보증수표’는 ‘지불행표’이다. 사채업자들의 ‘이자놀이’는 ‘변놀이’라고 하고 부동산 투기꾼들이 땅을 사 차익을 챙기기 위해 되파는 ‘전매행위’는 ‘되거리’라고 한다.

또 부부가 같이 직장에 나가는 ‘맞벌이 부부’는 ‘직장세대’라 하는데 가정에만 종사하는 ‘전업주부’는 ‘가두녀성’이라 한다. ‘격일제 근무’는 ‘하루돌이근무’, ‘원가’는 ‘본값’, ‘벼락부자(졸부)’는 ‘갑작부자’라고 한다. 배를 만드는 ‘조선’은 ‘배무이’, ‘전기밥솥’은 ‘전기밥가마’, ‘공장장’은 ‘직장장’이라 부른다. 또 ‘평야지대’는 ‘벌방지대’이며, ‘대풍년’은 ‘만풍년’이고, ‘화전’은 ‘부대밭’ 또는 ‘부대기밭’이다. ‘의식주’는 북쪽에서는 먹는 것을 앞세워 ‘식의주’라 하는데 우리가 주식으로 먹는 ‘쌀밥’을 그들은 ‘이밥’이라고 한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18
1676 불우 바람의종 2007.07.17 5899
1675 불야성 바람의종 2007.07.16 6334
1674 불식과 척결 바람의종 2012.11.14 11281
1673 불닭 바람의종 2009.07.13 6256
1672 불구하고?/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10531
1671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風文 2022.09.18 1087
1670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風文 2022.08.15 1125
1669 분홍바늘꽃 바람의종 2008.07.12 6305
1668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1057
1667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316
1666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75
1665 분꽃 바람의종 2008.04.14 7227
1664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272
1663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바람의종 2010.01.18 14089
1662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435
1661 북망산 가다 바람의종 2008.01.14 10039
1660 북녘의 수학 용어 바람의종 2010.02.22 7645
1659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50
» 북녘의 경제 용어 바람의종 2010.02.25 8281
1657 북녘말 바람의종 2012.10.04 12225
1656 부화가 치밀다, 부아가 치밀다 / 화병, 홧병 바람의종 2010.05.08 26802
1655 부치다 / 붙이다 바람의종 2008.06.18 109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