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모 어쩝니껴?

by 바람의종 posted Feb 25,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라모 어쩝니껴?

‘그라모’는 ‘그라몬’과 함께 표준어 ‘그러면’에 대응하는 전형적인 경상도 고장말이다. 이들은 ‘그러면’의 말뿌리 [그러+N-+-면]이 ‘그D면>그라면>그라먼>그라몬>그라모’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는 과정에서 생겨난 말이다. “갑수야, 그라모 내하고 쪼매 나가서 저, 너거 핵교 풍금선상 있제, 그 처자선상 집만 좀 갈키도고.”(<노을> 김원일) “그래, 그라몬 니는 우리 둘째 년이 왜 니맨쿠로(너처럼) 짜리몽땅한지 안 이상하나?”(<하구> 이문열)

‘그라모/그라몬’이 전형적인 경상도 고장말이라면, ‘그먼/글먼’은 ‘그러면>그러먼>그르먼>글먼>그먼’과 같은 변화를 경험한 전형적인 전라도말이다. “글먼 고것을 워째야(어떻게 해야) 쓰겄소?”(<태백산맥> 조정래) “글먼 워쩔 것이요, 포도시 깨친 글로 자서전얼 쓰잔께 글언 지대로 안 되야묵고 심만(힘만) 짠득 들제라.”(위 책)

또한 ‘그러면’에 대응하는 제주도 고장말은 ‘게건’과 ‘게민’이다. “게건 집에 올 때 장에 들령 독 혼 머리만 사다 줍서.(그러면 집에 돌아올 때 시장에 들러 닭 한 마리만 사다 주세요.)” “게민 어떵 잰?(그러면 어떻게 하려고?)”(<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