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23 14:00

반어법

조회 수 906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반어법

말이나 글을 아름답고 정연하게 다듬고 꾸미는 일을 ‘수사’(修辭)라고 한다. 또 그런 기법을 ‘수사법’이라고 한다. 말이나 글에서 수사를 전혀 동원하지 않는다면 말맛이 느껴지지 않아 매우 밋밋하게 전달될 것이다. 말을 잘하고 글을 잘 쓴다는 것은 수사법을 적절히 구사하는 데서 찾을 수도 있다. 수사법에 ‘반어법’이라는 것이 있다. 표현하려는 뜻과는 반대되는 말을 함으로써 뜻을 강화하는 방법이다.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에게 “너 잘났다”고 하거나, 예쁜 아이에게 “요 얄미운 것” 하는 등의 표현 방법이다.

“이날 노 대통령이 읽은 회견문은 ‘논거가 무엇이지요?’ ‘인수위는 그렇게 알고 있습니까?’ 같은 반어법 문장으로 가득 차 있었다.” 신문 기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회견문을 ‘반어법 문장’이라고 했다. 인수위에서 하고 있는 일들을 못마땅하게 생각하여 계속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자기의 주장을 대신하고 있는데, 이런 문장을 반어법 문장이라고 할 수는 없다. 굳이 이름을 붙이자면 ‘반문법’ 정도가 될 것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반어법’을 논리학에서 ‘상대편이 틀린 점을 깨우치도록 반대의 결론에 도달하는 질문을 하여 진리로 이끄는 일종의 변증법’이라는 설명을 곁들이고 있다. 그러나 이때의 ‘반어법’은 논리를 이끌어 가는 전체적인 맥락을 이르는 것으로서, 문장 차원의 ‘반어법’이 아니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9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273
1500 발발아 바람의종 2009.10.06 6301
1499 발바리 바람의종 2010.02.23 8039
1498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941
1497 발르세요? 바람의종 2008.03.14 7338
1496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26
1495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바람의종 2012.07.04 16896
1494 받치다, 받히다 바람의종 2011.12.28 10352
1493 받아쓰기 없기 風文 2022.02.10 2567
1492 반풍수 집안 망친다 바람의종 2008.01.11 11134
1491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218
1490 반증, 방증 바람의종 2008.09.30 10036
1489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10.11.03 12101
1488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76
» 반어법 바람의종 2010.02.23 9066
1486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708
1485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626
1484 박차를 가하다 바람의종 2008.01.10 13033
1483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813
1482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95
1481 박살내다 바람의종 2007.05.09 10333
1480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976
1479 박빙, 살얼음 바람의종 2010.01.11 109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