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23 14:00

반어법

조회 수 9041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반어법

말이나 글을 아름답고 정연하게 다듬고 꾸미는 일을 ‘수사’(修辭)라고 한다. 또 그런 기법을 ‘수사법’이라고 한다. 말이나 글에서 수사를 전혀 동원하지 않는다면 말맛이 느껴지지 않아 매우 밋밋하게 전달될 것이다. 말을 잘하고 글을 잘 쓴다는 것은 수사법을 적절히 구사하는 데서 찾을 수도 있다. 수사법에 ‘반어법’이라는 것이 있다. 표현하려는 뜻과는 반대되는 말을 함으로써 뜻을 강화하는 방법이다.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에게 “너 잘났다”고 하거나, 예쁜 아이에게 “요 얄미운 것” 하는 등의 표현 방법이다.

“이날 노 대통령이 읽은 회견문은 ‘논거가 무엇이지요?’ ‘인수위는 그렇게 알고 있습니까?’ 같은 반어법 문장으로 가득 차 있었다.” 신문 기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회견문을 ‘반어법 문장’이라고 했다. 인수위에서 하고 있는 일들을 못마땅하게 생각하여 계속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자기의 주장을 대신하고 있는데, 이런 문장을 반어법 문장이라고 할 수는 없다. 굳이 이름을 붙이자면 ‘반문법’ 정도가 될 것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반어법’을 논리학에서 ‘상대편이 틀린 점을 깨우치도록 반대의 결론에 도달하는 질문을 하여 진리로 이끄는 일종의 변증법’이라는 설명을 곁들이고 있다. 그러나 이때의 ‘반어법’은 논리를 이끌어 가는 전체적인 맥락을 이르는 것으로서, 문장 차원의 ‘반어법’이 아니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9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40
1566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583
1565 바람의종 2008.08.03 6700
1564 벌이다와 벌리다 바람의종 2010.04.06 13504
1563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21
1562 벌써, 벌써부터 바람의종 2009.05.02 6157
1561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491
1560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50
1559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6980
1558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682
1557 번역 투 문장 바람의종 2010.01.10 7243
1556 번번이 / 번번히 바람의종 2012.05.07 14642
1555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104
1554 버스 대절해서 행선지로 바람의종 2012.01.07 11439
1553 버스 값, 버스비, 버스 요금 바람의종 2010.03.24 14199
1552 버벅거리다 바람의종 2011.12.14 10809
1551 버버리 코트 바람의종 2008.02.12 6800
1550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804
1549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8016
1548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바람의종 2009.11.12 11559
1547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478
1546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414
1545 백지 와 그라노! 바람의종 2010.02.08 71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