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23 14:00

반어법

조회 수 901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반어법

말이나 글을 아름답고 정연하게 다듬고 꾸미는 일을 ‘수사’(修辭)라고 한다. 또 그런 기법을 ‘수사법’이라고 한다. 말이나 글에서 수사를 전혀 동원하지 않는다면 말맛이 느껴지지 않아 매우 밋밋하게 전달될 것이다. 말을 잘하고 글을 잘 쓴다는 것은 수사법을 적절히 구사하는 데서 찾을 수도 있다. 수사법에 ‘반어법’이라는 것이 있다. 표현하려는 뜻과는 반대되는 말을 함으로써 뜻을 강화하는 방법이다.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에게 “너 잘났다”고 하거나, 예쁜 아이에게 “요 얄미운 것” 하는 등의 표현 방법이다.

“이날 노 대통령이 읽은 회견문은 ‘논거가 무엇이지요?’ ‘인수위는 그렇게 알고 있습니까?’ 같은 반어법 문장으로 가득 차 있었다.” 신문 기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회견문을 ‘반어법 문장’이라고 했다. 인수위에서 하고 있는 일들을 못마땅하게 생각하여 계속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자기의 주장을 대신하고 있는데, 이런 문장을 반어법 문장이라고 할 수는 없다. 굳이 이름을 붙이자면 ‘반문법’ 정도가 될 것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반어법’을 논리학에서 ‘상대편이 틀린 점을 깨우치도록 반대의 결론에 도달하는 질문을 하여 진리로 이끄는 일종의 변증법’이라는 설명을 곁들이고 있다. 그러나 이때의 ‘반어법’은 논리를 이끌어 가는 전체적인 맥락을 이르는 것으로서, 문장 차원의 ‘반어법’이 아니다.

우재욱/시인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1396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7890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2814
    read more
  4. 근낭 가디!

    Date2010.02.12 By바람의종 Views7732
    Read More
  5. 접수하다

    Date2010.02.12 By바람의종 Views8411
    Read More
  6. 천둥벌거숭이

    Date2010.02.12 By바람의종 Views9276
    Read More
  7. 술과 음식

    Date2010.02.15 By바람의종 Views8365
    Read More
  8. 멘트

    Date2010.02.15 By바람의종 Views8474
    Read More
  9. 갯벌과 개펄

    Date2010.02.15 By바람의종 Views9579
    Read More
  10. 시울

    Date2010.02.15 By바람의종 Views6870
    Read More
  11. ‘첫날밤이요’

    Date2010.02.21 By바람의종 Views9665
    Read More
  12. 주최와 주관

    Date2010.02.21 By바람의종 Views9042
    Read More
  13. 보어

    Date2010.02.21 By바람의종 Views9150
    Read More
  14. 북녘의 수학 용어

    Date2010.02.22 By바람의종 Views7643
    Read More
  15. 디카, 필카, 셀카

    Date2010.02.22 By바람의종 Views9526
    Read More
  16. 띠다와 띄다

    Date2010.02.22 By바람의종 Views10120
    Read More
  17. 왠지? 웬지?

    Date2010.02.22 By바람의종 Views9730
    Read More
  18. 반어법

    Date2010.02.23 By바람의종 Views9016
    Read More
  19.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Date2010.02.23 By바람의종 Views8306
    Read More
  20. 어간에서 ‘하’의 줄임

    Date2010.02.23 By바람의종 Views10786
    Read More
  21. 그라모 어쩝니껴?

    Date2010.02.25 By바람의종 Views7336
    Read More
  22. 북녘의 경제 용어

    Date2010.02.25 By바람의종 Views8275
    Read More
  23. 강다짐

    Date2010.02.25 By바람의종 Views9796
    Read More
  24. 썩이다와 썩히다

    Date2010.02.25 By바람의종 Views10112
    Read More
  25. 블루스

    Date2010.02.28 By바람의종 Views902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