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23 14:00

반어법

조회 수 902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반어법

말이나 글을 아름답고 정연하게 다듬고 꾸미는 일을 ‘수사’(修辭)라고 한다. 또 그런 기법을 ‘수사법’이라고 한다. 말이나 글에서 수사를 전혀 동원하지 않는다면 말맛이 느껴지지 않아 매우 밋밋하게 전달될 것이다. 말을 잘하고 글을 잘 쓴다는 것은 수사법을 적절히 구사하는 데서 찾을 수도 있다. 수사법에 ‘반어법’이라는 것이 있다. 표현하려는 뜻과는 반대되는 말을 함으로써 뜻을 강화하는 방법이다.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에게 “너 잘났다”고 하거나, 예쁜 아이에게 “요 얄미운 것” 하는 등의 표현 방법이다.

“이날 노 대통령이 읽은 회견문은 ‘논거가 무엇이지요?’ ‘인수위는 그렇게 알고 있습니까?’ 같은 반어법 문장으로 가득 차 있었다.” 신문 기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회견문을 ‘반어법 문장’이라고 했다. 인수위에서 하고 있는 일들을 못마땅하게 생각하여 계속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자기의 주장을 대신하고 있는데, 이런 문장을 반어법 문장이라고 할 수는 없다. 굳이 이름을 붙이자면 ‘반문법’ 정도가 될 것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반어법’을 논리학에서 ‘상대편이 틀린 점을 깨우치도록 반대의 결론에 도달하는 질문을 하여 진리로 이끄는 일종의 변증법’이라는 설명을 곁들이고 있다. 그러나 이때의 ‘반어법’은 논리를 이끌어 가는 전체적인 맥락을 이르는 것으로서, 문장 차원의 ‘반어법’이 아니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0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6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601
1962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08.01.17 8787
1961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83
1960 속풀이 바람의종 2010.11.03 10445
1959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900
1958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37
1957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381
1956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145
1955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389
1954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896
1953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139
1952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899
1951 소젖 바람의종 2008.01.22 6450
1950 소정 바람의종 2007.07.24 6326
1949 소와리골 바람의종 2008.05.06 7134
1948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288
1947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340
1946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201
1945 소라색 바람의종 2008.02.15 7490
1944 소담하다, 소박하다 바람의종 2012.05.03 13831
1943 소고기,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9 7229
1942 소강상태에 빠지다 바람의종 2010.05.29 10186
1941 셀프-서비스 바람의종 2009.06.09 58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