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23 14:00

반어법

조회 수 902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반어법

말이나 글을 아름답고 정연하게 다듬고 꾸미는 일을 ‘수사’(修辭)라고 한다. 또 그런 기법을 ‘수사법’이라고 한다. 말이나 글에서 수사를 전혀 동원하지 않는다면 말맛이 느껴지지 않아 매우 밋밋하게 전달될 것이다. 말을 잘하고 글을 잘 쓴다는 것은 수사법을 적절히 구사하는 데서 찾을 수도 있다. 수사법에 ‘반어법’이라는 것이 있다. 표현하려는 뜻과는 반대되는 말을 함으로써 뜻을 강화하는 방법이다.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에게 “너 잘났다”고 하거나, 예쁜 아이에게 “요 얄미운 것” 하는 등의 표현 방법이다.

“이날 노 대통령이 읽은 회견문은 ‘논거가 무엇이지요?’ ‘인수위는 그렇게 알고 있습니까?’ 같은 반어법 문장으로 가득 차 있었다.” 신문 기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회견문을 ‘반어법 문장’이라고 했다. 인수위에서 하고 있는 일들을 못마땅하게 생각하여 계속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자기의 주장을 대신하고 있는데, 이런 문장을 반어법 문장이라고 할 수는 없다. 굳이 이름을 붙이자면 ‘반문법’ 정도가 될 것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반어법’을 논리학에서 ‘상대편이 틀린 점을 깨우치도록 반대의 결론에 도달하는 질문을 하여 진리로 이끄는 일종의 변증법’이라는 설명을 곁들이고 있다. 그러나 이때의 ‘반어법’은 논리를 이끌어 가는 전체적인 맥락을 이르는 것으로서, 문장 차원의 ‘반어법’이 아니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38
2556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34
2555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2.12 8420
2554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282
2553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66
2552 멘트 바람의종 2010.02.15 8481
2551 갯벌과 개펄 바람의종 2010.02.15 9579
2550 시울 바람의종 2010.02.15 6877
2549 ‘첫날밤이요’ 바람의종 2010.02.21 9690
2548 주최와 주관 바람의종 2010.02.21 9042
2547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51
2546 북녘의 수학 용어 바람의종 2010.02.22 7645
2545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28
2544 띠다와 띄다 바람의종 2010.02.22 10125
2543 왠지? 웬지? 바람의종 2010.02.22 9730
» 반어법 바람의종 2010.02.23 9022
2541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10
2540 어간에서 ‘하’의 줄임 바람의종 2010.02.23 10799
2539 그라모 어쩝니껴? 바람의종 2010.02.25 7339
2538 북녘의 경제 용어 바람의종 2010.02.25 8275
2537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00
2536 썩이다와 썩히다 바람의종 2010.02.25 10119
2535 블루스 바람의종 2010.02.28 90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