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22 19:54

북녘의 수학 용어

조회 수 7636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북녘의 수학 용어

2승, 3승 할 때의 ‘지수’를 북쪽에서는 ‘어깨수’로 부른다. ‘소수’는 남쪽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뜻하는 것인지 1과 자기 자신의 수로만 나누어지는 숫자를 뜻하는 것인지 구별이 되지 않는다. 이 경우 북쪽에서는 앞엣것을 ‘소수’로 부르고 뒤엣것을 ‘씨수’(모든 수의 씨앗이 되는 수)라고 불러 구분한다. 또 말 다듬기의 결과로서 ‘항등식’은 ‘늘같기식’, ‘내접’은 ‘아낙닿이’라고 한다. 우리의 ‘벡터’는 러시아식 표기법을 따라 ‘벡토르’로 부르고 있다.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의 면적은 다른 두 변을 각각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의 면적의 합과 같다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세평방정리’라고 하고, 이른바 역의 부정명제로서 “피이면 큐이다”가 “큐 아니면 피 아니다”가 되는 것, 즉 전제와 결론을 역으로 하여 각각을 부정명제로 변환한 것을 남쪽에서는 ‘대우’라고 하는데 ‘북쪽’에서는 ‘거꿀반명제’라고 한다. 이 밖에 몇 가지를 지적하면 포물선(팔매선), 정수(옹근수), 예각(뾰족각), 외접(바깥닿이), 수렴하다(다가들다), 역함수(거꿀함수), 퍼지 집합(퍼지모임), 교점(사귐점), 순열(차례무이), 해(풀이), 이항정리(두마디공식), 공배수(공통곱절수), 판별식(판정식) 등인데 괄호 안의 것이 북쪽 식 표기이다. 고유어화의 흔적이 역력하다. 그러나 이로 말미암은 이질화는 서로에게 부담스럽다. 이 자료는 남북 수학자 회의 자료에 수록된 3700개 가운데 일부이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93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879
2094 그라모 어쩝니껴? 바람의종 2010.02.25 7329
2093 발바리 바람의종 2010.02.23 8012
2092 진정코 바람의종 2010.02.23 8985
2091 어간에서 ‘하’의 줄임 바람의종 2010.02.23 10775
2090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01
2089 반어법 바람의종 2010.02.23 9011
2088 절절이 / 절절히 바람의종 2010.02.22 13494
2087 왠지? 웬지? 바람의종 2010.02.22 9723
2086 띠다와 띄다 바람의종 2010.02.22 10114
2085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22
» 북녘의 수학 용어 바람의종 2010.02.22 7636
2083 떡볶이 / 떡볶기, 손톱깎이 / 손톱깍기 바람의종 2010.02.21 11040
2082 괄세, 섭하다 바람의종 2010.02.21 12354
2081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40
2080 주최와 주관 바람의종 2010.02.21 9033
2079 ‘첫날밤이요’ 바람의종 2010.02.21 9615
2078 로드맵 바람의종 2010.02.15 6750
2077 부인, 집사람, 아내, 안사람 바람의종 2010.02.15 14144
2076 시울 바람의종 2010.02.15 6861
2075 갯벌과 개펄 바람의종 2010.02.15 9576
2074 멘트 바람의종 2010.02.15 8469
2073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