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21 10:10

‘첫날밤이요’

조회 수 976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첫날밤이요’

현대 서울말에는 보조사 ‘요’가 매우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뭐해요?”라고 묻고 “신문 봐요.”라고 답한다. “뭐합니까?”라고 묻고 “신문 봅니다.”라고 답하는 예는 거의 들을 수가 없다. ‘요’는 존대를 나타내는 말이기는 하지만, 격식체는 아니다. 그러나 이 말이 격식체를 거의 몰아내 버린 상황이다.

‘요’는 평서문, 의문문, 감탄문, 명령문, 청유문을 가리지 않고 쓰인다. ‘요’로 종결된 문장은 뒤에 따라오는 문장부호에 따라 문장 종류가 가려질 정도다. ‘달이 밝아요?’ 하면 의문문, ‘달이 밝아요!’ 하면 감탄문이 된다. 서술어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고 여러 문장 성분에 다양하게 쓰인다. ‘제가요’ 하면 주어에, ‘밥을요’ 하면 목적어에, ‘빨리요’ 하면 부사어에 쓰인 것이다.

“첫날밤이요? 그냥 잤어요.” 지난 대선 때 대선후보 부인들을 인터뷰한 신문기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신혼 첫날밤을 어떻게 보냈느냐는 짓궂은 질문에 대한 답인데, ‘첫날밤이요’라고 해서 ‘이요’를 썼다. ‘첫날밤’의 마지막 글자에 받침이 있으므로 매개모음 격으로 ‘이’를 첨가한 것 같은데, ‘요’는 항상 ‘요’로 쓰일 뿐, ‘이요’라는 변이형태를 만들지 않는다.

그런데 신문, 방송 자막 할 것 없이 받침 밑에서는 ‘이요’를 마구 쓰고 있다. 큼지막하게 제목으로 달아놓은 것도 쉬 볼 수 있다. 더 이상 퍼뜨리지 않아야 할 말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52
1346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54
1345 첫번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11.12.27 9657
1344 긴가민가하다 바람의종 2009.12.18 9659
1343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60
1342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663
1341 질투 바람의종 2009.11.29 9663
1340 베테랑 바람의종 2010.07.10 9667
1339 곤색 바람의종 2008.02.02 9671
1338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672
1337 거덜이 나다 바람의종 2007.12.26 9673
1336 독불장군 바람의종 2010.07.10 9674
1335 임마, 상판때기 바람의종 2009.11.09 9674
1334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677
1333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677
1332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78
1331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683
1330 태어나다 바람의종 2012.02.28 9685
1329 들쳐업다 바람의종 2009.07.28 9686
1328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687
1327 엉덩이와 궁둥이 바람의종 2010.08.19 9688
1326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696
1325 복구, 복귀 바람의종 2009.09.23 96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