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21 10:10

‘첫날밤이요’

조회 수 9619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첫날밤이요’

현대 서울말에는 보조사 ‘요’가 매우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뭐해요?”라고 묻고 “신문 봐요.”라고 답한다. “뭐합니까?”라고 묻고 “신문 봅니다.”라고 답하는 예는 거의 들을 수가 없다. ‘요’는 존대를 나타내는 말이기는 하지만, 격식체는 아니다. 그러나 이 말이 격식체를 거의 몰아내 버린 상황이다.

‘요’는 평서문, 의문문, 감탄문, 명령문, 청유문을 가리지 않고 쓰인다. ‘요’로 종결된 문장은 뒤에 따라오는 문장부호에 따라 문장 종류가 가려질 정도다. ‘달이 밝아요?’ 하면 의문문, ‘달이 밝아요!’ 하면 감탄문이 된다. 서술어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고 여러 문장 성분에 다양하게 쓰인다. ‘제가요’ 하면 주어에, ‘밥을요’ 하면 목적어에, ‘빨리요’ 하면 부사어에 쓰인 것이다.

“첫날밤이요? 그냥 잤어요.” 지난 대선 때 대선후보 부인들을 인터뷰한 신문기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신혼 첫날밤을 어떻게 보냈느냐는 짓궂은 질문에 대한 답인데, ‘첫날밤이요’라고 해서 ‘이요’를 썼다. ‘첫날밤’의 마지막 글자에 받침이 있으므로 매개모음 격으로 ‘이’를 첨가한 것 같은데, ‘요’는 항상 ‘요’로 쓰일 뿐, ‘이요’라는 변이형태를 만들지 않는다.

그런데 신문, 방송 자막 할 것 없이 받침 밑에서는 ‘이요’를 마구 쓰고 있다. 큼지막하게 제목으로 달아놓은 것도 쉬 볼 수 있다. 더 이상 퍼뜨리지 않아야 할 말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5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9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955
1368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2.12 8410
1367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247
1366 복지리 바람의종 2010.02.12 7473
1365 제수용품 / 꼬지, 꽂이, 꼬치 바람의종 2010.02.12 11373
1364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65
1363 멘트 바람의종 2010.02.15 8469
1362 갯벌과 개펄 바람의종 2010.02.15 9576
1361 시울 바람의종 2010.02.15 6861
1360 부인, 집사람, 아내, 안사람 바람의종 2010.02.15 14144
1359 로드맵 바람의종 2010.02.15 6750
» ‘첫날밤이요’ 바람의종 2010.02.21 9619
1357 주최와 주관 바람의종 2010.02.21 9033
1356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40
1355 괄세, 섭하다 바람의종 2010.02.21 12354
1354 떡볶이 / 떡볶기, 손톱깎이 / 손톱깍기 바람의종 2010.02.21 11040
1353 북녘의 수학 용어 바람의종 2010.02.22 7636
1352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22
1351 띠다와 띄다 바람의종 2010.02.22 10114
1350 왠지? 웬지? 바람의종 2010.02.22 9723
1349 절절이 / 절절히 바람의종 2010.02.22 13495
1348 반어법 바람의종 2010.02.23 9011
1347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