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21 10:10

‘첫날밤이요’

조회 수 958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첫날밤이요’

현대 서울말에는 보조사 ‘요’가 매우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뭐해요?”라고 묻고 “신문 봐요.”라고 답한다. “뭐합니까?”라고 묻고 “신문 봅니다.”라고 답하는 예는 거의 들을 수가 없다. ‘요’는 존대를 나타내는 말이기는 하지만, 격식체는 아니다. 그러나 이 말이 격식체를 거의 몰아내 버린 상황이다.

‘요’는 평서문, 의문문, 감탄문, 명령문, 청유문을 가리지 않고 쓰인다. ‘요’로 종결된 문장은 뒤에 따라오는 문장부호에 따라 문장 종류가 가려질 정도다. ‘달이 밝아요?’ 하면 의문문, ‘달이 밝아요!’ 하면 감탄문이 된다. 서술어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고 여러 문장 성분에 다양하게 쓰인다. ‘제가요’ 하면 주어에, ‘밥을요’ 하면 목적어에, ‘빨리요’ 하면 부사어에 쓰인 것이다.

“첫날밤이요? 그냥 잤어요.” 지난 대선 때 대선후보 부인들을 인터뷰한 신문기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신혼 첫날밤을 어떻게 보냈느냐는 짓궂은 질문에 대한 답인데, ‘첫날밤이요’라고 해서 ‘이요’를 썼다. ‘첫날밤’의 마지막 글자에 받침이 있으므로 매개모음 격으로 ‘이’를 첨가한 것 같은데, ‘요’는 항상 ‘요’로 쓰일 뿐, ‘이요’라는 변이형태를 만들지 않는다.

그런데 신문, 방송 자막 할 것 없이 받침 밑에서는 ‘이요’를 마구 쓰고 있다. 큼지막하게 제목으로 달아놓은 것도 쉬 볼 수 있다. 더 이상 퍼뜨리지 않아야 할 말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406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05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5723
902 블루스 바람의종 2010.02.28 9004
901 썩이다와 썩히다 바람의종 2010.02.25 10106
900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783
899 북녘의 경제 용어 바람의종 2010.02.25 8273
898 그라모 어쩝니껴? 바람의종 2010.02.25 7326
897 어간에서 ‘하’의 줄임 바람의종 2010.02.23 10775
896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01
895 반어법 바람의종 2010.02.23 9009
894 왠지? 웬지? 바람의종 2010.02.22 9723
893 띠다와 띄다 바람의종 2010.02.22 10114
892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17
891 북녘의 수학 용어 바람의종 2010.02.22 7627
890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28
889 주최와 주관 바람의종 2010.02.21 9024
» ‘첫날밤이요’ 바람의종 2010.02.21 9582
887 시울 바람의종 2010.02.15 6845
886 갯벌과 개펄 바람의종 2010.02.15 9567
885 멘트 바람의종 2010.02.15 8458
884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45
883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236
882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2.12 8410
881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