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15 08:03

술과 음식

조회 수 8370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술과 음식

한때 북쪽의 들쭉술이 유명하여 샤를 드골 전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였을 때 많은 양을 프랑스로 날라 갔다는 소문이 있었다. 그런데 막상 북쪽 사람들을 만나 보니 그렇게 즐겨 마시는 것 같지가 않았다. 백두산에서 자생하는 들쭉나무 열매가 재료라고 하는데 우리의 복분자술과 같은 색깔을 하고 있다. 2008년 개성에서 마셨던 ‘한 딸라(1달라)’짜리 시원한 대동강 병맥주도 생각난다. 남쪽에서는 막걸리가 하늘까지 날 것 같다. 아시아나항공이 일본 항공로에 묵 등의 안주와 함께 막걸리를 기내식으로 제공한다는 소식이다. 얼마 전 한-일 정상회담에서도 건배주가 막걸리였다고 한다. 평양에서는 예로부터 평양냉면, 대동강 숭어국과 함께 감홍로술이 유명하다고 한다.

남북 분단은 음식 관련 용어까지 바꾸어 놓았다. 녹말(농마), 주먹밥(줴기밥), 양파(둥글파), 상추(부루), 튀김(튀기), 개고기(단고기), 수제비(뜨더국), 취사장(밥공장), 작은 술(애기숟가락), 큰 술(큰숟가락) 등에서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괄호 속의 것이 북쪽 식 표현이다. 여기에서 ‘지지개’와 ‘찔게’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지지개’는 “국보다는 국물이 적고 진하며 짠맛을 가지는 반찬”이고 ‘찔게’는 ‘반찬’의 일반 명칭이다. 우리의 ‘찌개’는 북쪽 말로 ‘지지개’이다. 북쪽에서는 많은 음식들이 ‘사회급양망’(음식을 배급하는 조직)을 통하여 보급되고 있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82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4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343
1368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2.12 8429
1367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322
1366 복지리 바람의종 2010.02.12 7501
1365 제수용품 / 꼬지, 꽂이, 꼬치 바람의종 2010.02.12 11394
»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70
1363 멘트 바람의종 2010.02.15 8485
1362 갯벌과 개펄 바람의종 2010.02.15 9595
1361 시울 바람의종 2010.02.15 6895
1360 부인, 집사람, 아내, 안사람 바람의종 2010.02.15 14209
1359 로드맵 바람의종 2010.02.15 6791
1358 ‘첫날밤이요’ 바람의종 2010.02.21 9732
1357 주최와 주관 바람의종 2010.02.21 9057
1356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66
1355 괄세, 섭하다 바람의종 2010.02.21 12375
1354 떡볶이 / 떡볶기, 손톱깎이 / 손톱깍기 바람의종 2010.02.21 11056
1353 북녘의 수학 용어 바람의종 2010.02.22 7656
1352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33
1351 띠다와 띄다 바람의종 2010.02.22 10142
1350 왠지? 웬지? 바람의종 2010.02.22 9738
1349 절절이 / 절절히 바람의종 2010.02.22 13517
1348 반어법 바람의종 2010.02.23 9046
1347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