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15 08:03

술과 음식

조회 수 8363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술과 음식

한때 북쪽의 들쭉술이 유명하여 샤를 드골 전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였을 때 많은 양을 프랑스로 날라 갔다는 소문이 있었다. 그런데 막상 북쪽 사람들을 만나 보니 그렇게 즐겨 마시는 것 같지가 않았다. 백두산에서 자생하는 들쭉나무 열매가 재료라고 하는데 우리의 복분자술과 같은 색깔을 하고 있다. 2008년 개성에서 마셨던 ‘한 딸라(1달라)’짜리 시원한 대동강 병맥주도 생각난다. 남쪽에서는 막걸리가 하늘까지 날 것 같다. 아시아나항공이 일본 항공로에 묵 등의 안주와 함께 막걸리를 기내식으로 제공한다는 소식이다. 얼마 전 한-일 정상회담에서도 건배주가 막걸리였다고 한다. 평양에서는 예로부터 평양냉면, 대동강 숭어국과 함께 감홍로술이 유명하다고 한다.

남북 분단은 음식 관련 용어까지 바꾸어 놓았다. 녹말(농마), 주먹밥(줴기밥), 양파(둥글파), 상추(부루), 튀김(튀기), 개고기(단고기), 수제비(뜨더국), 취사장(밥공장), 작은 술(애기숟가락), 큰 술(큰숟가락) 등에서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괄호 속의 것이 북쪽 식 표현이다. 여기에서 ‘지지개’와 ‘찔게’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지지개’는 “국보다는 국물이 적고 진하며 짠맛을 가지는 반찬”이고 ‘찔게’는 ‘반찬’의 일반 명칭이다. 우리의 ‘찌개’는 북쪽 말로 ‘지지개’이다. 북쪽에서는 많은 음식들이 ‘사회급양망’(음식을 배급하는 조직)을 통하여 보급되고 있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9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4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477
2028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70
2027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61
2026 문화어에 오른 방언 바람의종 2010.02.06 8400
2025 물고를 내다 바람의종 2008.01.08 11620
2024 물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2.03 7979
2023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460
2022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573
2021 물사마귀 바람의종 2010.07.17 11251
2020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306
2019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바람의종 2008.10.01 12936
2018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8953
2017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064
2016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691
2015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바람의종 2012.01.23 14756
2014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723
2013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303
2012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283
2011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09
2010 미래를 나타내는 관형형 바람의종 2010.03.06 9394
2009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530
2008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073
2007 미망인 바람의종 2008.11.01 59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