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15 08:03

술과 음식

조회 수 8358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술과 음식

한때 북쪽의 들쭉술이 유명하여 샤를 드골 전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였을 때 많은 양을 프랑스로 날라 갔다는 소문이 있었다. 그런데 막상 북쪽 사람들을 만나 보니 그렇게 즐겨 마시는 것 같지가 않았다. 백두산에서 자생하는 들쭉나무 열매가 재료라고 하는데 우리의 복분자술과 같은 색깔을 하고 있다. 2008년 개성에서 마셨던 ‘한 딸라(1달라)’짜리 시원한 대동강 병맥주도 생각난다. 남쪽에서는 막걸리가 하늘까지 날 것 같다. 아시아나항공이 일본 항공로에 묵 등의 안주와 함께 막걸리를 기내식으로 제공한다는 소식이다. 얼마 전 한-일 정상회담에서도 건배주가 막걸리였다고 한다. 평양에서는 예로부터 평양냉면, 대동강 숭어국과 함께 감홍로술이 유명하다고 한다.

남북 분단은 음식 관련 용어까지 바꾸어 놓았다. 녹말(농마), 주먹밥(줴기밥), 양파(둥글파), 상추(부루), 튀김(튀기), 개고기(단고기), 수제비(뜨더국), 취사장(밥공장), 작은 술(애기숟가락), 큰 술(큰숟가락) 등에서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괄호 속의 것이 북쪽 식 표현이다. 여기에서 ‘지지개’와 ‘찔게’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지지개’는 “국보다는 국물이 적고 진하며 짠맛을 가지는 반찬”이고 ‘찔게’는 ‘반찬’의 일반 명칭이다. 우리의 ‘찌개’는 북쪽 말로 ‘지지개’이다. 북쪽에서는 많은 음식들이 ‘사회급양망’(음식을 배급하는 조직)을 통하여 보급되고 있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9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4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460
2028 그슬리다, 그을리다 바람의종 2009.02.18 11071
2027 ~의, ~와의 바람의종 2009.02.18 7367
2026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62
2025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124
2024 딸리다, 달리다 바람의종 2009.02.19 8935
2023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59
2022 니자테 너인테 바람의종 2009.02.20 6408
2021 교과서 바람의종 2009.02.20 5492
2020 꺽다 바람의종 2009.02.20 8683
2019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06
2018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06
2017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573
2016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763
2015 대미관, 대북관 바람의종 2009.02.21 6653
2014 정상 정복, 등정 바람의종 2009.02.21 6391
2013 악플 바람의종 2009.02.22 6697
2012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7759
2011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바람의종 2009.02.22 13170
2010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534
2009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45
2008 돈놀이 바람의종 2009.03.01 7071
2007 덧글, 답글, 댓글 1 바람의종 2009.03.01 74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