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12 03:50

치르다·치루다

조회 수 1312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치르다·치루다

용언의 활용형을 틀리게 쓰는 일이 더러 눈에 띈다. 이런 일은 많은 경우 기본형을 잘못 알고 있기 때문에 일어난다. ‘추스르다’의 활용형을 ‘추스렸다·추스려서·추스려라’ 등으로 쓰는 예는 흔히 볼 수 있는 잘못이다. 이런 잘못은 기본형을 ‘추스리다’로 알고 있기 때문에 일어난다. 기본형이 ‘추스르다’라고 정확히 알고 있으면 ‘추슬렀다·추슬러서·추슬러라’로 틀리지 않게 쓸 수 있을 것이다.

기본형이 헷갈려 활용형을 흔히 틀리게 쓰는 낱말로 ‘추스르다·치르다·담그다·잠그다·들르다’ 등을 들 수 있다. “칠순 잔치를 치룬 가요계 대모 현미는…” 신문 기사의 한 구절이다. ‘치른’으로 써야 할 것을 ‘치룬’으로 잘못 쓰고 있다. 과거형으로 하면 ‘치렀다’인데 이것도 ‘치뤘다’로 쓴 예를 흔히 볼 수 있다. ‘치르다’의 기본형을 ‘치루다’로 알고 있기 때문에 이런 잘못이 일어난다.

‘담그다·잠그다·들르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김장 담갔다’, ‘문 잠가라’, ‘큰집에 들러라’로 써야 할 것을 흔히 ‘담궜다’, ‘잠궈라’, ‘들려라’로 잘못 쓰는 예가 허다하다. 이 또한 기본형을 ‘담구다·잠구다·들리다’로 알고 있기 때문에 일어난 잘못이다.

다만 ‘치르다’의 과거형이 ‘치렀다’이니 ‘추스르다’의 과거형도 ‘추스렀다’로 되어야 할 것 같은데, ‘추슬렀다’인 것은 용언의 ‘불규칙 활용’에 관한 문제로, 다른 기회에 살펴보고자 한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0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5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439
3062 거마비 바람의종 2007.06.01 10207
3061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723
3060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17
3059 거시기 바람의종 2011.11.14 10436
3058 거절과 거부 바람의종 2010.11.16 9052
3057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686
3056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53
3055 거짓말 바람의종 2009.09.06 8253
3054 거짓말, 말, 아닌 글자 風文 2022.09.19 1144
3053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385
3052 거치다와 걸치다 바람의종 2010.03.23 15182
3051 거치장스럽다 바람의종 2012.05.16 8091
3050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337
3049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風文 2020.07.18 2178
3048 건넛방, 건넌방 바람의종 2011.12.22 10772
3047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97
3046 건달 바람의종 2007.06.01 8668
3045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580
3044 걷잡아 / 겉잡아 바람의종 2010.03.19 12218
3043 걸리적거리다 바람의종 2010.08.15 9713
3042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590
3041 걸맞은, 알맞은 바람의종 2008.04.07 90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