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8 22:34

북녘의 속담

조회 수 8454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북녘의 속담

속담은 생활 속에서 얻은 경험이나 교훈을 간결한 언어 형식으로 표현한 것인데 이에는 은유, 직유, 의인, 야유, 과장, 반복, 대구, 대조 등 여러 가지 문체론적 방법이 효과적으로 동원되어 문장이 세련되어 있고 그 의미가 함축적이다.

우리가 잘 쓰지 않는 것으로 “국수집 식초병 같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냉면을 많이 먹는 북쪽에서 그 식습관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속담이다. 평양의 옥류관은 하루에도 엄청난 수의 손님이 든다니 그 식초병이 얼마나 바쁘랴 싶다. 부산스럽게 바쁜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이때 국수는 꼭 국수만을 이르는 것이 아니다. 면 종류를 널리 지칭하는 말이다.

“가을 뻐꾸기 소리 같다.”는 말은 실속 없는 헛소문을 이르는 말이다. 뻐꾸기는 봄새인데 이 뻐꾸기가 가을에 운다니 거짓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요즈음은 5월이 되어도 우리 농촌에서 뻐꾸기 소리가 듣기 어렵다. 남북에서 의미는 같으면서도 표현이 다른 속담이 있다. “부뚜막(가마목)의 소금도 집어넣어야 짜다.”, “느려도 황소걸음(걸음새 뜬 소가 천리 간다).”, “고슴도치도 제 새끼 예쁘다(함함하다)면 좋아한다.”, “티끌 모아 태산(큰 산).”, “방귀 뀐 놈이 큰소리친다(나갔던 파리 왱댕한다).” 등이다. 괄호 속의 것이 북쪽 식 표현이다.

한편, “꽃은 웃어도 소리가 없고 새는 울어도 눈물이 없다.”는 김정일 위원장의 무뚝뚝하고 안하무인함을 풍자하려고 고전 소설인 <최고운전>을 인용하여 만든 속담(?)이라고 한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93
1676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306
1675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8023
1674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807
1673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35
1672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5977
1671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08
1670 사설을 늘어놓다 바람의종 2008.01.15 7449
1669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33
1668 사슴 바람의종 2008.10.01 7144
1667 사시미, 스시, 스키다시, 락교, 와사비 바람의종 2012.09.04 11264
1666 사십구재 바람의종 2007.11.09 6993
1665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바람의종 2009.05.26 12016
1664 사위스럽다 바람의종 2010.11.11 12909
1663 사위질빵 바람의종 2008.03.10 5727
1662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66
1661 사이다 바람의종 2010.06.16 11645
1660 사이드카 바람의종 2009.07.24 7949
1659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40
1658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076
1657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2.10.15 10580
1656 사이시옷 적기 바람의종 2010.01.08 7235
1655 사인 바람의종 2010.03.19 112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