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8 22:34

북녘의 속담

조회 수 8494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북녘의 속담

속담은 생활 속에서 얻은 경험이나 교훈을 간결한 언어 형식으로 표현한 것인데 이에는 은유, 직유, 의인, 야유, 과장, 반복, 대구, 대조 등 여러 가지 문체론적 방법이 효과적으로 동원되어 문장이 세련되어 있고 그 의미가 함축적이다.

우리가 잘 쓰지 않는 것으로 “국수집 식초병 같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냉면을 많이 먹는 북쪽에서 그 식습관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속담이다. 평양의 옥류관은 하루에도 엄청난 수의 손님이 든다니 그 식초병이 얼마나 바쁘랴 싶다. 부산스럽게 바쁜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이때 국수는 꼭 국수만을 이르는 것이 아니다. 면 종류를 널리 지칭하는 말이다.

“가을 뻐꾸기 소리 같다.”는 말은 실속 없는 헛소문을 이르는 말이다. 뻐꾸기는 봄새인데 이 뻐꾸기가 가을에 운다니 거짓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요즈음은 5월이 되어도 우리 농촌에서 뻐꾸기 소리가 듣기 어렵다. 남북에서 의미는 같으면서도 표현이 다른 속담이 있다. “부뚜막(가마목)의 소금도 집어넣어야 짜다.”, “느려도 황소걸음(걸음새 뜬 소가 천리 간다).”, “고슴도치도 제 새끼 예쁘다(함함하다)면 좋아한다.”, “티끌 모아 태산(큰 산).”, “방귀 뀐 놈이 큰소리친다(나갔던 파리 왱댕한다).” 등이다. 괄호 속의 것이 북쪽 식 표현이다.

한편, “꽃은 웃어도 소리가 없고 새는 울어도 눈물이 없다.”는 김정일 위원장의 무뚝뚝하고 안하무인함을 풍자하려고 고전 소설인 <최고운전>을 인용하여 만든 속담(?)이라고 한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5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0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925
2072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960
2071 사이드카 바람의종 2009.07.24 7961
2070 매발톱꽃 바람의종 2008.03.16 7968
2069 으시시, 부시시 바람의종 2009.07.23 7970
2068 진짜 바람의종 2010.04.30 7970
2067 따 놓은 당상 바람의종 2009.03.27 7979
2066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80
2065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89
2064 대체나 그렇네 잉! 바람의종 2010.01.14 7990
2063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994
2062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7994
2061 망나니 風磬 2006.11.26 7996
2060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8001
2059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8003
2058 바이크 바람의종 2009.09.21 8010
2057 옥석구분 바람의종 2008.12.18 8013
2056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8018
2055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8018
2054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8019
2053 선보다 바람의종 2007.05.15 8024
2052 발바리 바람의종 2010.02.23 8027
2051 서낭당 風磬 2006.12.29 80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