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8 22:34

북녘의 속담

조회 수 8469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북녘의 속담

속담은 생활 속에서 얻은 경험이나 교훈을 간결한 언어 형식으로 표현한 것인데 이에는 은유, 직유, 의인, 야유, 과장, 반복, 대구, 대조 등 여러 가지 문체론적 방법이 효과적으로 동원되어 문장이 세련되어 있고 그 의미가 함축적이다.

우리가 잘 쓰지 않는 것으로 “국수집 식초병 같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냉면을 많이 먹는 북쪽에서 그 식습관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속담이다. 평양의 옥류관은 하루에도 엄청난 수의 손님이 든다니 그 식초병이 얼마나 바쁘랴 싶다. 부산스럽게 바쁜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이때 국수는 꼭 국수만을 이르는 것이 아니다. 면 종류를 널리 지칭하는 말이다.

“가을 뻐꾸기 소리 같다.”는 말은 실속 없는 헛소문을 이르는 말이다. 뻐꾸기는 봄새인데 이 뻐꾸기가 가을에 운다니 거짓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요즈음은 5월이 되어도 우리 농촌에서 뻐꾸기 소리가 듣기 어렵다. 남북에서 의미는 같으면서도 표현이 다른 속담이 있다. “부뚜막(가마목)의 소금도 집어넣어야 짜다.”, “느려도 황소걸음(걸음새 뜬 소가 천리 간다).”, “고슴도치도 제 새끼 예쁘다(함함하다)면 좋아한다.”, “티끌 모아 태산(큰 산).”, “방귀 뀐 놈이 큰소리친다(나갔던 파리 왱댕한다).” 등이다. 괄호 속의 것이 북쪽 식 표현이다.

한편, “꽃은 웃어도 소리가 없고 새는 울어도 눈물이 없다.”는 김정일 위원장의 무뚝뚝하고 안하무인함을 풍자하려고 고전 소설인 <최고운전>을 인용하여 만든 속담(?)이라고 한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4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0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873
884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68
883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315
882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2.12 8429
881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54
880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132
879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468
878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61
877 파고다 바람의종 2010.02.09 11762
876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17
875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208
»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69
873 백지 와 그라노! 바람의종 2010.02.08 7196
872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319
871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79
870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847
869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98
868 맞히다와 맞추다 바람의종 2010.02.06 10718
867 아르바이트 바람의종 2010.02.06 8050
866 문화어에 오른 방언 바람의종 2010.02.06 8410
865 사동사 바람의종 2010.01.28 8686
864 자립명사와 의존명사 바람의종 2010.01.28 13384
863 무단시 왜 그리 쌓소! 바람의종 2010.01.28 76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