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8 22:32

백지 와 그라노!

조회 수 7184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백지 와 그라노!

‘무단시, 무담시, 무담씨’ 등이 표준어 ‘괜히’에 대응하는 전형적인 전라도 고장말이라면 ‘백지’는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고장말 ‘백지’는 ‘농사가 안 되어 거두어들일 것이 없는 땅’ 또는 ‘정해진 근거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한자어 ‘백지’(白地)에서 유래한 말로, 경북 지역에서보다는 경남 지역에서 더 활발하게 쓰인다. “뭐 말인교? 백지 이 어른이 와 그런 소리 자꾸 해 쌓는교?”(<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편) “여보, 당신 우리가 백지 간다 쿤께네 참으로 가는 줄 압니까? 배꼍에 딱 서가 있다가 그래 왔는데….”(위 책) 어느 소설의 한 구절에서는 ‘백찌’와 같이 나타나는데, 이는 표기상의 차이일 뿐이다. “허헛따나 십장 사둔은, 넘우 뒈세기병(두통) 좀 나수겄다고 요라는디, 백찌 나서 각고, 훼방헐 것은 없잖냐고.”(<죽음의 한 연구> 박상륭)

‘백지’의 또 다른 형태는 ‘배끼’ 혹은 ‘백지이’이다. ‘배끼’는 ‘백지>백찌>배찌>배끼’와 같은 변화를 겪은 고장말이다. “술집 주모가 말이지 배끼 따라와 가주고….”(<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백지이’는 ‘백지’에 부사를 만드는 토 ‘-이’가 결합된 것이다. “백지이 짚은 산꼴을 드가는 기라 인제.”(위 책)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78
1918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168
1917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66
1916 넋살탕 바람의종 2008.03.07 9165
1915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51
1914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50
1913 오랑캐 風磬 2007.01.19 9148
1912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44
1911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39
1910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38
1909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36
1908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28
1907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27
1906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23
1905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22
1904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18
1903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15
1902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14
1901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12
1900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12
1899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08
1898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06
1897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