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8 22:32

백지 와 그라노!

조회 수 7196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백지 와 그라노!

‘무단시, 무담시, 무담씨’ 등이 표준어 ‘괜히’에 대응하는 전형적인 전라도 고장말이라면 ‘백지’는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고장말 ‘백지’는 ‘농사가 안 되어 거두어들일 것이 없는 땅’ 또는 ‘정해진 근거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한자어 ‘백지’(白地)에서 유래한 말로, 경북 지역에서보다는 경남 지역에서 더 활발하게 쓰인다. “뭐 말인교? 백지 이 어른이 와 그런 소리 자꾸 해 쌓는교?”(<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편) “여보, 당신 우리가 백지 간다 쿤께네 참으로 가는 줄 압니까? 배꼍에 딱 서가 있다가 그래 왔는데….”(위 책) 어느 소설의 한 구절에서는 ‘백찌’와 같이 나타나는데, 이는 표기상의 차이일 뿐이다. “허헛따나 십장 사둔은, 넘우 뒈세기병(두통) 좀 나수겄다고 요라는디, 백찌 나서 각고, 훼방헐 것은 없잖냐고.”(<죽음의 한 연구> 박상륭)

‘백지’의 또 다른 형태는 ‘배끼’ 혹은 ‘백지이’이다. ‘배끼’는 ‘백지>백찌>배찌>배끼’와 같은 변화를 겪은 고장말이다. “술집 주모가 말이지 배끼 따라와 가주고….”(<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백지이’는 ‘백지’에 부사를 만드는 토 ‘-이’가 결합된 것이다. “백지이 짚은 산꼴을 드가는 기라 인제.”(위 책)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9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4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334
1038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22
1037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321
1036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320
1035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318
1034 ~에 대한 바람의종 2008.03.11 7313
1033 바람의종 2008.08.21 7311
1032 내 탓이오 바람의종 2008.04.03 7308
1031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307
1030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306
1029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304
1028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302
1027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300
1026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97
1025 오시소마! 바람의종 2008.08.11 7293
1024 유명세를 타다 바람의종 2008.10.30 7293
1023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290
1022 벽과 담 윤영환 2011.11.28 7289
1021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288
1020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286
1019 오늘은 왠지... 바람의종 2008.04.13 7286
1018 오장이 바람의종 2008.12.28 7279
1017 분꽃 바람의종 2008.04.14 72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57 Next
/ 157